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다산의 마음 : 정약용 산문 선집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정약용
박혜숙
표제/저자사항다산의 마음:정약용 산문 선집 /정약용 [지음]박혜숙 편역.
발행사항파주:돌베개,2008
형태사항247 p. ;22 cm
총서사항우리고전 100선;11
총서부출표목우리고전 100선;11
ISBN9788971993149
9788971992500(세트)
서지주기"정약용 연보", "작품 원제" 및 색인 수록
비통제주제어한국고전,산문집,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EM005491 810.82 돌44ㅇ v.11 인문교양 서가 이용가능

목차

  • 목차

목차 일부

나를 찾아서 

‘나’를 지키는 집
 좌천의 즐거움과 괴로움
 퇴계 선생을 우러르며
 관아(官衙)를 새로 짓고
‘여유당’(與猶堂)이라 이름 붙인 뜻
 네 가지의 마땅함
 떠 있는 삶 
 유배 생활 12년
 괴로움은 즐거움의 뿌리다
 가진 것은 덧없다
 어떻게 살 것인가
 바로 ‘이’〔斯〕 

파리를 조문(弔問)한다

 목민관은...

more더보기

목차 전체

저자소개

  • 저자소개

정약용

조선 후기 실학의 집대성자. 1762(영조 38)년에 태어나 1836(헌종 2)년에 세상을 떠났다. 본관은 나주(羅州)이며, 자는 귀농(歸農), 미용(美庸), 호는 다산(茶山), 사암(俟菴), 탁옹(?翁), 태수(苔?), 자하도인(紫霞道人), 철마산인(鐵馬山人), 당호(堂號)는 여유(與猶), 시호는 문도(文度)다. 조선 후기 근기 남인 명문가 출신으로, 정조(正祖)의 총애 속에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 경기암행어사(京畿暗行御史), 사간원사간(司諫院司諫), 동부승지(同副承旨)·좌부승지(左副承旨), 곡산부사(谷山府使), 병조참지(兵曹參知), 부호군(副護軍), 형조참의(刑曹參議) 등을 역임하면서 정조의 개혁 정치에 적극 참여했으나, 1801년 발생한 천주교의 신유교난(辛酉敎難) 이후에는 장기, 강진 등에서 유배생활을 하면서 육경사서(六經四書)에 대한 연구와 일표이서(一表二書: 經世遺表·牧民心書·欽欽新書)의 경세학을 포함해 모두 500여 권에 이르는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의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