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단군신화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이형구
홍성찬
표제/저자사항단군신화/이형구 글,홍성찬 그림
판사항제2판.
발행사항파주:보림,2015
형태사항[30] p. :삽화;25x27 cm
총서사항솔거나라.전통문화그림책 ;6
총서부출표목솔거나라.전통문화그림책 ;6
ISBN9788943306779
9788943300692(세트)
수상주기제16회 한국어린이도서상
비통제주제어전래동화,전통문화,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EM004933 유 380.911 솔14ㅂ v.6 별관 1실 서가 이용가능

저자소개

  • 저자소개

1962년 홍익대학교에 입학하여 최순우(전 국립중앙박물관장) 문하에서 수학했다. 대만에 유학하여 국립대만대학교 고고인류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같은 대학교 역사학과에서 『발해연안 고대문화의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대만 고궁박물원과 중앙연구원에서 객원연구원으로 있었다. 1981년 귀국 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 역사연구소 교수·한국학대학원 교수, 중국 북경대학 고고학과 객좌교수 등을 역임했다. 선문대학교 역사학과 교수로 있으면서 고고연구소장·중앙도서관장과 대학원장도 맡았다.
한편,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과 문화재위원을 역임하고, 개성 영통사 복원추진위원회 남측 대표로 방북했고, 2002년 10월과 2003년 10월에는 평양에서 개최된 단군과 고조선 관계 남북학술회의를 주관하였다. ‘특별기획전 고구려!’ 준비기획위원장을 맡아 남북학술교류에 힘쓰기도 했다. 지금은 동양고고학연구소 대표로 있으면서 고조선단군학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2000년 서울 풍납토성 백제 왕경(王京) 유적 발견과 풍납토성 보존에 힘쓴 공로로 국가로부터 문화훈장을 받았다. 우리나라 고대민족·문화의 ‘시베리아 기원설’을 반론 고증하여 현행 중·고등학교 『국사』교과서에서 삭제하게 되었다.
저서로 『광개토대왕릉비 신연구』(박노희 공저), 『한국 고대문화의 기원』, 『강화도 고인돌무덤[지석묘] 조사연구』, 『강화도』, 『고조선문화연구』(공저), 『단군과 고조선』(편저), 『고구려의 고고문물』(공저), 『서울 풍납토성[백제왕성] 실측조사연구』, 『백제의 토성』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발해연안 빗살무늬토기문화의 연구」, 「발해연안 석묘문화의 원류」, 「청동기문화의 비교 Ⅰ·Ⅱ」, 「갑골문화의 기원과 한국의 갑골문화」, 「한국민족문화의 시베리아 기원설에 대한 재고」 등 100여 편이 있다. 이밖에 『朝鮮古代文化の起源』등 일문·중문으로 수십 편의 저서와 논문이 간행되었으며 역서로『갑골학 60년』(동작빈 저)이 있다.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