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만인보 . 27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고은
표제/저자사항만인보.고은 지음
발행사항파주:창비,2010
형태사항447 p. ;23 cm
총서사항창비전작시.
총서부출표목창비전작시.
부분표제萬人譜
ISBN9788936428556
9788936428983(전30권)
일반주기 색인 수록
비통제주제어한국문학,한국시,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EM004308 811.6 고67ㅁ v.27 인문교양 서가 이용가능

목차

  • 목차

목차 일부

계남수의 비
문신을 위하여

기영도
김생 자손
형 홍순백
낭랑클럽
아우 홍순권
장하인
조행권
조병상
부자
이또오 찌꼬오
이천균
박상현
정지영
이구영
이강수
연날리기
어느 형제
어느 해방둥이
이금재
강명화
그 할머니
탄실
유영선
리진
유동운
만덕
유동인
짐치통
오세현
북창 이경남
염행렬
일심이 아...

more더보기

목차 전체

저자소개

  • 저자소개

관심작가 추가 / 신간알림



고은 (1933.08.01) 
구분 : 저서
국적 : 대한민국
분류 : 문학가 , 인문/철학자 , 역사/종교학자 , 예술/취미 저자 , 아동/청소년 문학가 , 기타 
인기지수 : 2,797
반디추천 : 21회선정


최근저서
ㆍ[저서]흐느끼던 밤을 기억하네
ㆍ[저서]부활 - 개정판5쇄
ㆍ[저서]
ㆍ[저서]순간의 꽃


1933년 군산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은태(銀泰). 1950년 6·25 전쟁 중에 이름의 끝자는 떼어내고 은(銀)이라고 자칭한 이래 오늘에 이르렀다. 중학교에 다닐 때 우연히 길에서 주운 한하운 시인의 시집을 밤새 읽고 난 뒤 시인이 되기로 결심한다. 이듬해 발발한 한국전쟁에서 살아남았지만, 그 기억으로 고통스러운 날들을 보내다가 1952년 입산하여 일초(一超)라는 법명을 받고 불교의 승려가 되었다. 이후 10년간 참선과 방랑을 거듭하며 시를 쓰기 시작하였다. 1957년 ''불교신문''을 창간하고, 초대 주필이 되어 그 신문에 논설과 시를 발표한다. 1958년 『현대시』에 「폐결핵」을 발표하면서 등단했고, 1961년 『반야심경해의』, 『불교의 길』을 선학원에서 출간했다. 1962년 환속을 선언하고, 지금까지 시.소설.수필.평론 등 140여 권의 책을 내놓았다. 그 가운데 많은 책들이 영어, 독어, 불어, 일어 등으로 번역되어 다른 나라에서도 읽히고 있다. <고은 시 전집>, <고은 전집>, <백두산>, <만인보> 등은 지금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대표작이다. 고은의 문학적 성향은 <문의 마을에 가서>를 낸 1974년을 기준으로 크게 둘로 나뉘는데, 그의 전기 시들은 허무의 정서, 생에 대한 절망, 죽음에 대한 심미적인 탐닉이 주를 이루는 반면 후기 시들은 시대상황에 대한 비판과 현실에 대한 투쟁의지를 담고 있다. 한국문학작가상, 만해문학상, 중앙문화대상, 대산문학상 등 국내의 문학상을 10여 개나 받았고, 스웨덴 시카다상, 캐나다 그리핀 시인상 평생공로상, 노르웨이 비외르손 훈장을 받았다. 2010년 현재 현재 서울대 초빙교수로, 관악모둠강좌 ‘우리들의 안과 밖-고은의 지평선’을 맡고 있다. 해마다 노벨문학상 후보에 이름이 오르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작가이다. 지은 책으로 『고은시전집』, 『고은전집』, 서사시 『백두산』 7권, 전작시 『만인보』 30권, 『나는 격류였다』 등이 있다.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