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금오신화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시습
이지하
표제/저자사항금오신화/김시습 지음,이지하 옮김
발행사항서울:민음사,2009(2014 15쇄).
형태사항173 p. ;23 cm
총서사항세계문학전집;204
부분표제金鰲新話
ISBN9788937462047
9788937460005(세트)
서지주기"작가 연보" 수록
입수처 주기문영호 ;기증 ; (2014. 11. 24. ;) EM002841
비통제주제어세계문학,한국문학,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EM002841 문영호 808 민음54 v.204 인문교양 서가 이용가능

목차

  • 목차

만복사에서 저포놀이를 하다 
-만복사저포기 

이생이 담 너머를 엿보다 
-이생규장전 

부벽정에서 취하여 놀다

저자소개

  • 저자소개

김시습

본관 강릉. 자는 열경. 호는 매월당, 동봉, 벽산 등을 사용하였다. 1435년에 태어나서 1493년까지 쉰아홉 해를 살았다. 다섯 살 때 세종에게 불려가 시를 쓸 정도로 총명했다. 조정에서 일하고자 스물한 살 때까지는 학업에 정진했다. 세조가 어린 단종의 왕위를 빼앗자 읽던 책을 불사르고 방랑을 시작했다. 평안도로, 강원도로, 전라도로, 경상도로 전국을 누비며 방랑하던 김시습은 경주 금오산 기슭에 초막을 짓고 그곳에서 일생을 마치리라 결심하였다. 이곳에서 이야기 다섯 편을 썼다. 금오신화는 금오산에서 지은 새로운 이야기라는 뜻이다. 세조가 죽고 성종이 즉위하자 왕의 부름으로 서울까지 간 적이 있지만 벼슬에는 뜻이 없어 금오산으로 돌아왔다. 1478년 즈음에 세상에 나와 살았으나, 아내와 아들이 모두 죽자 산으로 돌아가 삶을 마쳤다. 2,200여 편의 시와 함께 정치 견해를 밝힌 산문들이 『매월당집』에 실려 있고, 소설 ‘만복사의 윷놀이’, ‘이생과 최랑’, ‘부벽정의 달맞이’, ‘꿈에 본 남염부주’, ‘용궁의 상량 잔치’ 가 『금오신화』에 전한다.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