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검은 튤립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Dumas Alexandre
송진석
표제/저자사항검은 튤립/알렉상드르 뒤마 지음,송진석 옮김
발행사항서울:민음사,2011(2014 5쇄).
형태사항369 p. ;23 cm
총서사항세계문학전집 ;268
총서부출표목세계문학전집 ;268
부분표제Tulipe noire
ISBN9788937462689
9788937460005(세트)
일반주기 원저자명: Alexandre Dumas
서지주기"작가 연보" 수록
입수처 주기문영호 ;기증 ; (2014. 11. 24. ;) EM002722
비통제주제어세계문학,프랑스문학,
일반용주기프랑스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EM002722 문영호 808 민음54 v.268 인문교양 서가 이용가능

저자소개

  • 저자소개

1802년 7월 24일, 빌레르코트레라는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1806년 나폴레옹 군의 장군이었던 뒤마의 아버지가 죽자, 뒤마의 가족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된다. 어린 뒤마는 제대로 교육도 받지 못했지만,''로빈슨 크루소''나'' 아라비안 나이트''와 같은 작품을 읽으며 읽고 쓰는 능력을 길러나갔다. 

성인이 된 뒤마는 생계를 꾸려나가기 위해 파리로 간다. 파리에서 그는 1823년 오를레앙 공작(후에 루이 필리프 왕) 가문에서 서류 작성하는 일을 얻게 되지만 곧 연극계로 뛰어들었다. 1820년대 말에서 1830년대 초는 패기 넘치는 젊은 뒤마에게 작가로서의 장래를 보장해 준 매우 중요한 시기였다. 그는 1828년에 화려한 문체로 프랑스 문예 부흥을 묘사한 ''앙리 3세와 그의 조정 Henri Ⅲ et sa cour''을 완성하였다. 이 작품은 시간, 장소, 행동의 3일치라는 고전주의 규칙을 무시하고 운문이 아닌 산문으로 씌어진 전형적인 낭만주의 작품이었다. 1829년 이 작품의 공연은 첫날부터 대성황을 이루었다. 뒤마를 후원한 루이 필립은 매우 흡족해했으며 한때는 극단적인 왕당파였던 빅토르 위고도 격찬을 아끼지 않았다. 이렇게 작가로서의 뒤마의 출발은 성공적이었다. 이후 20여 년 동안 뒤마는 위고, 비니Vigny와 더불어 가장 인기 있는 극작가로 활약했다. 

한편 1820년대에는 많은 잡지가 창간되면서 ''문예란''에 연재소설이 등장하였다. 뒤마는 연재소설에 매력을 느껴 차츰 극작품보다는 소설, 특히 역사소설을 더 많이 쓰기 시작했다. 그는 일만큼이나 삶의 자극에 탐닉했다. 평범한 일상생활의 권태를 모면하기 위해 그는 연애, 음식, 잠, 쾌락, 여가, 운동 등 여러 방면의 자극을 원했다. 그중에서도 그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여행이었다. 이탈리아 여행에서 뒤마는 여자, 오페라, 그리고 지중해에 대한 애정을 키웠고 그런 가운데 그의 대작들이 잉태되어 여행에서 돌아온 이듬해인 1944년에 리슐리외 시대의 모험담인 ''삼총사Les Trois Mousquetaires''를, 이어서 ''몬테크리스토 백작Le Comte de Monte-Cristo''을 세상에 내놓았다. 특히 ''몬테크리스토 백작''은 출간 즉시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으며, 번역되고 차용되고 표절되는 등, 한마디로 그 시대 최고의 ''인기 소설''이 되었다.

 ''삼총사''와 ''몬테크리스토 백작''의 성공 후에도 그는 수많은 작품들을 발표하여 당시의 가장 인기있는 작가로서의 입지를 굳혔지만 그의 사생활은 날로 황폐해 가고 있었다. 사치한 생활에 빠져 채권자들에게 돈을 갚기 위해 그는 발자크처럼 날마다 더 많은 글을 써내야 했고, 그 때문에 발자크처럼 방대한 양의 작품들을 후세에 남기게 되었다. 

뒤마에게는 또한 자신의 문학적 재능을 이어받은 훌륭한 작가 아들이 있었는데 그가 바로 ''춘희La Dame aux camelias''(1848)의 작가로 널리 알려진 뒤마 2세이다. 이들 부자 작가는 각자 이름 뒤에 아버지와 아들을 표시한 필명을 쓰고 있다. 아버지 뒤마의 사생아로 태어난 아들 뒤마는 아버지의 피를 이어받아 유능한 작가가 되었지만, 작품의 경향은 전혀 다르다. 아버지의 무책임한 사랑놀음으로 불우한 환경에서 자란 아들 뒤마는 결혼의 신성함을 강조한 작품을 썼다. 아들 뒤마의 가장 재미있는 희곡으로는 ''사생아Le Fils naturel''(1858)와 자신의 아버지 성격을 나름대로 해석해 극화한 ''방탕한 아버지Un Pere Prodigue''(1859)가 있다.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