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기다란 머리카락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박소율
방미진
손동인
손춘익
홍지혜
표제/저자사항기다란 머리카락/박소율,방미진,손동인,손춘익 [공]지음,홍지혜 그림
발행사항파주:창비,2013
형태사항149 p. :삽화;23 cm
총서사항창비아동문고 대표동화 ;05
총서부출표목창비아동문고 대표동화 ;05
ISBN9788936461256
9788936469917(전35권)
비통제주제어한국동화,창작동화,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EM002355 아 813.808 창48ㅊ v.5 서고 서가 이용가능

목차

  • 목차

1. 누구일까? _ 박소율
2. 금이 간 거울 _ 방미진
3. 기다란 머리카락 _ 방미진
4. 간이 큰 벼룩장군 _ 손동인
5. 송아지가 뚫어 준 울타리 구멍 _ 손춘익
6. 외딴 오막살이 _ 손춘익

저자소개

  • 저자소개

손춘익 - 1940년 경북 포항에서 출생해 2000년 사망했다. 1952년 포항국민학교를 졸업하고, 1955년 동지중학교를 졸업했다. 1960년엔 동지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2년엔 포항수산대학을 졸업했다. 1965년 7월에 영덕군 축산항초등학교로 발령을 받았으며, 이후 1966년부터 1987년까지는 동지상업고등학교 교사로 근무했다. 한국동화문학회 회원이었으며, 1989년부터는 10년간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를 역임했다. 국제펜클럽회원, 한국문인협회 포항지부장, 한국아동문학인협회 회원,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 및 아동문학분과위원장을 지냈고, 평생 고향인 포항을 지키면서 포항간호전문대학 강사로 재직했으며(1972~1982), 1981년에는 지역 문학잡지 ≪포항문학≫을 창간하고 1999년까지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며 지방의 문학 발전에 힘썼다.

문학 활동은 1966년 ≪조선일보≫와 ≪대구매일신문≫ 신춘문예에 <선생님을 찾아온 아이들>이 입선으로 당선되어 시작했으며, 1972년 제5회 세종아동문학상, 1981년 소천아동문학상을 수상했다. 1982년엔 경북문화상을, 사망 바로 전인 2000년 5월에는 ≪땅에 그리는 무지개≫로 제10회 방정환문학상을 수상했다. 사후에는 고향인 포항의 향토 문화와 예술인들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마련된 ‘애린문화상’의 첫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포항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동화로 등단한 뒤 40여 권의 창작집을 내는 등 지역 출신 문학가로 왕성한 활동을 펼쳤고, 지역의 문화 발전을 위해 지역 문학잡지인 ≪포항문단≫을 만들고 이끌었는데 이렇게 애쓴 그의 애향심과 예술 발전에 대한 열정과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다.

방미진 -1979년 울산에서 태어났으며, 2005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술래를 기다리는 아이〉가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다양한 작품들을 통해 어린이들의 내밀한 심리를 생생하게 그려 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금이 간 거울》 《행복한 자기감정 표현학교》 《어린이를 위한 사회성》 《형제가 간다》 《비닐봉지풀》 《손톱이 자라날 때》 《어린이를 위한 감정 조절의 기술》 《어쩌다 연애 따위를》《장화홍련전》《문제를 제대로 읽으라고》등이 있다.

손동인 - 1924년 경상남도 합천에서 태어나 1992년에 돌아가신 손동인 선생님은 오랫동안 인천교육대학 교수로 계시면서 우리나라 전래 동화 수집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동화집 [병아리 삼형제], [마음속의 꽃초롱], [하늘에 뜬 돌토끼], [황금덩이와 구렁이] 등과 소설집 [갸륵한 오해], [인간 경품] 이 있고, [한국전래동화집]을 엮었으며 그외에도 수필집, 연구서 등이 있습니다. 부산시 아동문학상·이주홍 아동문학상·한국 불교아동문학상을 받았습니다.

박소율 - 1979년 인천에서 태어났다. 『창비어린이』 2008년 여름호에 「모자이크 너머」를 발표했고, 인하대학교 대학원에서 아동문학을 공부하며 동화와 청소년소설을 쓰고 있다.

홍지혜 - 대학 졸업 후 그림책의 매력에 빠져 일러스트레이터의 길을 걷고 있다. 그동안 그린 책으로는《제이의 영어모험》《신랑을 기다리는 열 명의 아가씨》《인체첫발》《소리야, 날아올라라》등이 있다. 그림책 외에도 다양한 매체에 그림을 그리고 디자인 작업도 한다. 이 책의 그림을 그리면서 어린 시절 남동생과 자주 티격태격하던 일들이 떠올라 피식 웃음이 나오기도 했다.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