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통신사 필담창화집의 세계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구지현
표제/저자사항통신사 필담창화집의 세계/구지현 지음
발행사항서울:보고사,2011
형태사항321 p. ;24 cm
총서사항조선후기 통신사 필담창화집 연구총서;5
총서부출표목조선후기 통신사 필담창화집 연구총서;5
ISBN9788984339057
9788984339002(세트)
서지주기참고문헌 수록
비통제주제어조선통신사,조선문학,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EM000443 911.05 필담82 v.5 인문교양 서가 이용가능

목차

  • 목차

목차 일부

1970년 천안 눈돌 출생.
연세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한 후 동대학원에서 석박사를 취득
민족문화추진회에서 한문을 공부하였으며, 일본 게이오대학 방문연구원(일한문화교루기금 펠로우십)을 거쳤다.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

저서
<1763 계미 통신사 사행문학 연구>, <통신사 필담창화집의 세계>, <호연재 김씨의 생애와 삶(공저)> 등

논...

more더보기

목차 전체

저자소개

  • 저자소개

책머리에
통신사를 통한 한ㆍ일 문학 교류의 전개 양상 
-『천초문고서목해제』소재 필담창화집을 자료로 하여 
17세기 필담창화의 성립과 일본인의조선 인식 
권칙 찬『시인요고집』의 일본 전래와 간행의 의미 
17세기 통신사 필담창화집의 출현과 초기 형태 
1682년 한일 문사 교류 담당층의 확립과 소통의 확대 
18세기 초 조일문사의 신분적 특성에 따른 필담교류의 분화양상에 대하여 
1711년 신묘통신사와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의 필담을 통한 상호 소통 
18세기 필담창화집의 양상과 교류 담당층의 변화 
필담을 통한 한일 문사 교류의 전개 양상 
-아카마카세키[赤間關]를 중심으로 
1769년 필담자료를 통해 본 에도에서의 문사 교류 
-『경개집(傾蓋集)』서문에 보이는 인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