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담은) 국어 교육의 이해 : 국어 교육의 미래를 모색하는 열여섯 가지 이야기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최미숙
원진숙
정혜승
김봉순
이경화
전은주
정현선
주세형
표제/저자사항(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담은) 국어 교육의 이해:국어 교육의 미래를 모색하는 열여섯 가지 이야기 /최미숙,원진숙,정혜승,김봉순,이경화,전은주,정현선,주세형 [공]지음.
판사항제2판.
발행사항서울:사회평론아카데미,2012(2014 4쇄).
형태사항524 p. ;28 cm
총서사항사회평론 교육 총서;2
총서부출표목사회평론 교육 총서;2
ISBN9791195109074
서지주기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EM000325 710.7 국어15사2 문자언어 서가 이용가능

목차

  • 목차

목차 일부

제2판 서문
초판 서문

제1부
제1장 국어 교육의 필요성
1. 언어의 본질적 기능은 무엇인가
2. 이미 익숙한 모어를 왜 가르칠까 


3. 국어과 교육의 성격은 무엇인가

제2장 국어과 교육과정
1. 국어과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2. 국어과 교육과정은 어떤 기능을 할까
3. 국어과 교육과정은 어떻게 변해 왔을까
4. 2011년...

more더보기

목차 전체

저자소개

  • 저자소개

원진숙
고려대학교 국어교육학 문학박사.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동 대학원에서 다문화 교육 전공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다문화 가정 학생들에게 한국어와 이중언어 교육을 하고 있으며, 우수한 결혼 이주 여성인력들이 일선 초등학교에서 이중언어 강사로 활동할 수 있도록 양성하고 있습니다. 국정 초등 교과서, 국가 수준 국어과 교육과정을 개발했으며, 중도 입국 학생들을 위한 한국어(KSL) 교육과정 개발, KSL 교재 개발, 이중언어 교재 및 다문화 제재 언어 교육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이 책을 기획하고 다문화가 드러나는 이야기를 선별했으며, 이중언어 진행을 맡았습니다. 

저서 : <국어 교육의 이해>, <공공화법>, <초등 국어과 교육의 원리> 등


최미숙
상명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시와 함께 배우는 시론』(공저) 
『국어교육 연구의 반성과 전망』(공저) 


『사고와 표현』 외 다수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