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 여는 글 1960년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 감사의 말
1부 1960의 재구성 혁명의 시간 쿠데타의 시간
1장 4ㆍ19는 왜 기적이 되지 못했나? 4ㆍ19와 5ㆍ16, 자유와 빵의 토포스
1. 4ㆍ19는 어떤 사건이었던가
피의 화요일, 파괴적이거나 혁명적이거나 / 우발적 행진, 방향 잃은 시위대 / 대학생 신화의 탄생
2. 어떻게...
더보기
목차 전체
■ 여는 글 1960년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 감사의 말
1부 1960의 재구성 혁명의 시간 쿠데타의 시간
1장 4ㆍ19는 왜 기적이 되지 못했나? 4ㆍ19와 5ㆍ16, 자유와 빵의 토포스
1. 4ㆍ19는 어떤 사건이었던가
피의 화요일, 파괴적이거나 혁명적이거나 / 우발적 행진, 방향 잃은 시위대 / 대학생 신화의 탄생
2. 어떻게 5ㆍ16이 가능했는가
활기찬 모색의 시절 / “올 것이 왔구나” / 빛바랜 ‘빵 없는 자유’
3. 혁명의 시간과 쿠데타의 시간
힘과 속도, 세대교체의 정치학 / 4ㆍ19가 4ㆍ19로서 이어졌다면 / 5ㆍ16이 되어버린 4ㆍ19
2장 4월의 문학, 근대화론에 저항하다 1960년대 문학의 새로운 정신, 《산문시대》에서 《창작과비펑까지》
1. 4ㆍ19의 문학적 불모성과 풍요
개인의 자유와 혁명 / 4ㆍ19라는 감춰진 동기
2. 낙오되고 실종된 자유 그리고 문학
유예된 ‘자유’의 양식화 / 《산문시대》, ‘속물도 패배자도 아닌’ / 김승옥, 스스로 법죄를 연민하는
3. 이청준의 정신주의, ‘허기’의 정치성
“어느 하나를 버려야 한다면 빵을 버리는 수밖에” / ‘선택할 수 없는 세대’의 자유
4. 방영웅의 원시주의, 《분례기》의 몰역사성과 불결성
《창작과비평》의 야심작 《분례기》 / “미친놈 아니면 살아” 있을 수 없는/ ‘창비’ 대 ‘문지’ 이전, 1960년대라는 동시대성
3장 엇갈린 운명, 1960년대 ‘지성’과 사상전향 동백림 사건 임석진과 통혁당 사건 김질락의 삶과 사상
1. 분단-‘후진국’의 지성과 사상선택
후진성의 모순적 힘 / 반곡독재 국가에서 사상을 갖는다는 것 / 스스로 침묵하거나 말을 빼앗긴 지식인들
2. ‘웅얼거린 갈릴레이’, 임석진의 전향과 행로
갈릴레이의 위장전향 / 두 번 월북한 헤겔철학의 권위자 / 박정희 앞에서 자수한 간첩 / 간첩을 창작하고 간첩을 용서한 권력 / 침묵 속에 ‘학문’으로 살아가기
3. 김질락, 용서받지 못한 희생양
“내 탓이요 내 탓이요 내 큰 탓이로소이다” / ‘과잉전향’의 인식론과 우익적 논리 / 전향선언문의 텍스트성과 지성의 책임 / 분단정치의 뫼비우스 띠
|보론| 현대 한반도에서의 사상전향 연구를 위하여
권력획득과 전향 문제 / 한국식 전향의 특수성
4장 “내 귀에 도청장치” 간첩의 존재론과 반공영화 텍스트의 문화정치
1. 간첩이 없으면 국가도 없다
간첩은 어떤 존재인가? / 그들의 얼굴
2. 나는 ‘간첩’이 아니고 너는 ‘간첩’이고
간첩의 유명론 / 주권권력의 카운터파트
3. 그토록 수많은 ‘간첩들’
표상공간에 잠입했거나 체포된 ‘간첩’ / 잠입에 실패한 간첩, 민주화 이후 포착된 간첩
4. 간첩ㆍ반공영화의 텍스트 원천
심리전 도구로서의 반공영화 / ‘국가’라는 이름의 창작자 / 〈고발〉, 1960년대 간첩서사의 새 표상공간 / 간첩영화의 미래
2부 1960의 정신현상학 지식과 지성의 안과 바깥
5장 중립의 꿈, 1945~1968 최인훈 소설의 정치적 상상력과 ‘제3의 길’ 모색
1. 냉전 너머 아시아를 생각하다
소설로 쓴 국가론 《총독의 소리》 연작 / 중립의 비정치적 유토피아를 노래하다
2. ‘하나의 세계’는 불가능했나?
미국 없이는 존재할 수 없었던 나라 / ‘하나의 세계’냐 ‘세계의 궤멸’이냐 / 공존과 협력의 길
3. 중립의 꿈과 세계의 상상지리
한반도 중립은 “소련만 불로소득케” 되는 셈? / 중립의 모델, 오스트리아와 라오스 사이
4. 《태풍》에 나타난 중립의 종말
좌절된 중립의 꿈에 대한 조사(弔詞) / 만하임 혹은 ‘아이히만’ 사건과 부활의 논리
5. 다시 그 불온한 변신담 불러내기
강소국(强小國) 모델과 제3의 길 / 냉전 이후《화두》의 의미
6장. 민족 혹은 소명의 나르시시즘 1960년대식 지성과 민족본질론 그리고 ‘한국학’의 풍경
1. 민족주의와 ‘아메리카’의 매혹
후기-식민지화와 아카데미즘의 구조화 / 일본 유학파와미국 유학파
2. 1950년대의 ‘민족’과 1960년대의 ‘민족’
어중간한 ‘바지저고리’ 같은 것 / 4ㆍ19라는 재출발 / 1960년대 민족주의의 성격과 모순
3. 문화적 종족본질론과 이어령의 한국문화론
“흙속에 저 바람 속에” 던져진 오리엔탈리즘의 시선 / 자의적인 한국문화론 / 이어령 붐과 민족의 자기의식
4. 함석헌과 박정희, 수난과 사명의 민족 서사
민족적 소명의 나르시시즘 / 민족개조의 사명과 ‘우리 민족의 나갈 길’ / 민족성 또는 “한국인의 이상기질”
5. 문학적 지성과 민족주의, 조동일과 김현
김현의 경우, 자유주의 문학적 지성의 전사 / 1960년대식 ‘지성’의 지양, 1970년대의 새로운 분화
7장 《사상계》가 사랑한 세계의 지식 냉전 시기 세계 지성과 한국
1. 새로운 지(知)의 세계를 만들다
4월혁명과 《사상계, “자유의 나무는 피를 먹고 자란다” / 《사상계》가 번역한 세계의 지식 / 어떤 외국 사상이 들어왔나?
2. 한국 지성의 ‘비밀’ 《엔카운터》
“빌려드릴 수 없”는 잡지 / 《엔카운터》와 문화자유회의 / 《사상계》 속 《엔카운터》
3. 문화자유회의와 1960년대의 지식ㆍ문화계
문화자유회의 ‘한국지부’의 활동 / 사상계가 사랑한 잡지들, 그리고 냉전(기) 자유주의 / 문화자유회의의 파국과 《사상계》의 위기
3부 1960의 망탈리테 박정희 레짐과 현대성의 탄생
8장 자기계발 혹은 실존을 위한 책읽기 ‘60년대식’ 독서와 자아의 운명
1. 1960년대에 완성된 ‘근대의 책읽기’
근대의 개인에게 필요한 ‘처세ㆍ수양’의 담론 / 1920년대의 ‘수양’, 1960년대의 ‘성공’, 2000년대의 ‘자기계발’
2. 1950~1960년대 초 자기계발서의 경향
수양 독본의 종언 / 새로운 자기계발 상품, 미국산 카네기
3. 잘 팔리는 행복론과 불행한 사회
자기알기, 자기돌봄 / ‘처세의 기술’과 ‘세대론’
4. 교양주의 전성시대, 전혜린과 ‘문학소녀’
전혜린과 전봉덕, 식민지 부르주아 교양주의와 엘렉트라 드라마 / 소녀시대, 대중적 교양주의와 문학
5. 박정희식 개발시대, ‘60년대식’ 자아의 운명
교묘한 변주 / 국가주의에 포획된 교양
9장 박정희 군사독재시대의 ‘교양’과 자유교양운동 교양의 재구성, 대중성의 재구성
1. 박정희 시대의 문화정치
‘동원’과 ‘탈동원’의 문제 / 독서운동이 민족중흥을 가져온다?
2. 유신 스타일의 인문주의와 자유교양운동
“빨리 바르게 쉽게” 고전 100권 읽히기 운동 / 대통령기쟁탈전국자유교양대회 개최와 《자유교양》 발간 / 문화능력이 곧 국방능력? / 자유교양대회의 팽창과 소멸
3. 교양의 재구성, 대중성의 재구조화
매 맞아가며 고전 읽기 /교사들도 동원되다 / 고전교육의 효과와 내면화 / ‘반교양의 교양’과 탈동원 효과 / 교양과 대중문화의 양가성
10장. 아프레걸 변심담 혹은 신사임당 탄생설화 1950~1960년대, 성과 세대의 표상정치학
1. 4월의 반동? ‘여성은 가정으로!’
분노한 남성, 혁명과 보수성
2. 1950년의 여성, 아프레걸과 자유부인
자유라는 이름의 통속이 유행하다 / 차디찬 육체의 주인공들 / 자유부인 현상, 계ㆍ댄스ㆍ자모회
3. ‘젊은 사자들’의 유행과 그 누이들
‘아프레걸’, 누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 ‘젊은 사자들’과 세대-젠더의 교체 / 4월혁명과 여성, ‘가정으로’와 ‘사회로’ 사이
4. 혁명의 뒷골목에서
‘어린이’도 ‘첩’도 데모하던 나날 / ‘영웅적 지도자’를 구함 / 아프레걸에 대한 부정과 순결의 환상 / 다만 ‘참아야’ 하는 시대의 개막
11장. ‘1960’은 왜 일본문화를 좋아했을까? 일본문화에 대한 한국사회의 분열증
1. “또 하나의 기적” 한류?
타인의 시선 / 1965년, 한일국교정상화와 ‘금수조치’
2. ‘4ㆍ19’는 왜 일본문화를 좋아했을까?
일본문화의 유행, ‘친일’과 ‘트렌드’ 사이 / 1960년대 ‘일류’와 일본문학 / 김승옥 생각의 모순 / 한국 대중독서계를 평정한 이시자카 요지로
3. 1960년대 민족주의의 여러 얼굴
1965년의 분열증 / 《빙점》 열풍 전후
4. 열고 또 막기, 그리고 희생양 만들기
박정희의 7ㆍ13 공양과 후속 법적 조치 / 관제 민족주의의 희생양이 된 대중문화 / ‘한류’나 ‘일류’너머
■ 맺는 글 ‘개발’과 ‘민주화’를 넘어
■ 주 / ■ 주요 참고논저 / ■ 찾아보기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