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3
제1부 문헌자료의 활용과 해석
<원생몽유록>의 문헌수록 및 印行 과정 = 15
1. 서론 = 15
2. 장릉지본 <원생몽유록>의 수록 및 인행 과정 = 17
3. 관란유고본 <원생몽유록>의 수록 및 인출 과정 = 28
4. <원생몽유록>의 소통양상 = 39
5. 남은 문제 = 47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3
제1부 문헌자료의 활용과 해석
<원생몽유록>의 문헌수록 및 印行 과정 = 15
1. 서론 = 15
2. 장릉지본 <원생몽유록>의 수록 및 인행 과정 = 17
3. 관란유고본 <원생몽유록>의 수록 및 인출 과정 = 28
4. <원생몽유록>의 소통양상 = 39
5. 남은 문제 = 47
<원생몽유록> 작자문제의 허실 = 50
1. 접근 방법 = 50
2. 조선조 독자의 작자인식과 그 흐름 = 52
3. 임제 저작설의 반성적 검토 = 57
4. 원호 창작의 가능성 = 74
5. 결론 = 96
인흥군 瑛과 <취은몽유록> = 98
1. 들어가며 = 98
2. 인흥군의 생애와 저술 = 99
3. <취은몽유록>의 제문제 = 115
4. <취은몽유록>의 창작동인과 세계관 = 123
5. 결론 = 132
<운영전>의 연구성과와 그 전망 = 135
1. 연구사 서술방식의 문제 = 135
2. 연구사의 흐름과 그에 나타난 문제들 = 137
3. 결론 = 158
제2부 소설 창작, 그 역사적 배경
<최척전>의 창작동인과 소통과정 = 169
1. 전제할 문제 = 169
2. 남원 유생 최척의 발자취 = 171
3. 선조·광해 연간의 문학동호회와 조위한 = 181
4. <최척전>에 담긴 창작의식과 주제 = 192
5. <최척전>의 소통양태와 의미 = 208
6. 결론 및 과제 = 219
원작 계열 <김영철전>의 발견과 그 자료적 가치 = 222
1. 들어가며 = 222
2. 이본 대비 및 원작 계열 확정 = 224
3. 홍본의 기타 이본적 특질과 의미 = 239
4. 원작 <김영철전>의 기타 특질 = 244
5. 결론 = 247
<김영철전>의 형상화 방식과 작가의식 = 249
1. <김영철전> 텍스트의 문제 = 249
2. 갈등양상과 인물형상의 특징 = 252
3. 현실인식과 작가의식 = 261
4. 소설사적 위상 = 275
<동선기>의 작품세계와 소설사적 위상 = 279
1. 문제제기 = 279
2. 傳奇양식의 전통과 <동선기> = 283
3. 통속적 성향과 의미 = 287
4. 전란기 사회현실의 비유적 형상화 = 297
5. <동선기>의 소설사적 위상 = 311
6. 결론 = 317
제3부 소설사 보충을 위한 모색
<요해단충록>을 통해 본 명청교체기의 중국과 조선 = 321
1. 들어가며 = 321
2. 주요 서술시각 개괄 = 324
3. 작품에 나타난 명청교체기의 중국과 조선 = 330
4. 결론 = 349
<금병매>를 통해 본 <사씨남정기> = 352
1. 전환적 발상을 위하여 = 352
2. 인물형상화 방식과 그 사실성의 층위 = 357
3. 문제해결 방식과 그 미의식의 층위 = 367
4. 결론을 대신하여 = 375
18세기 궁경실학자 하빈 신후담과 <남흥기사> = 381
1. 문제의 소재 = 381
2. 신후담의 학문적 생애와 저술 = 383
3. 패설·잡기류의 편찬 및 산삭과 그 의미 = 396
4. 文宣國에 대한 열망과 장편소설 <남흥기사>의 창작 = 404
5. 결론을 대신하여 = 414
「하빈 신후담 연보」 = 420
『승정원일기』소재 소설 관련 기사 변증 = 429
1. 들어가며 = 429
2. <南征紀行>·<百花傳> 관련 기사 변증 = 431
3. <구운몽> 관련 기사 변증 = 440
4. <남계연담> 관련 기사 변증 = 451
5. 남은 문제 = 457
제4부 자료 발굴의 틈새
민간 소장 신 발굴 고전소설 타작 = 461
1. 녹우당본 <옥기린>의 자료적 가치 = 461
2. <리만영전> 소개 = 476
3. <화운전>에 대하여 = 481
중국 소장 한국 고전산문 자료 탐방 = 489
1. 북경대본 <사씨남정기>에 대하여 = 489
2. 북경대본 『열하일기』의 자료적 가치 = 495
3. 삽도본 <흑백기>에 대하여 = 509
찾아보기 = 51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