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8
제1부 | 음식문화 = 12
조선시대 음식문화 성립 배경 = 12
음식을 만든 사람들 = 17
궁중
관청
양반가
중인
밥상차림으로 본 신분사회 = 51
계급에 따라 달리한 밥상차림
밥상차림의 왜곡 및 변질
정통적인 조선왕조의 수라상차림
밥상차림의 문화 = 63
음양오행사상에서 출발한 밥상차림
음...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8
제1부 | 음식문화 = 12
조선시대 음식문화 성립 배경 = 12
음식을 만든 사람들 = 17
궁중
관청
양반가
중인
밥상차림으로 본 신분사회 = 51
계급에 따라 달리한 밥상차림
밥상차림의 왜곡 및 변질
정통적인 조선왕조의 수라상차림
밥상차림의 문화 = 63
음양오행사상에서 출발한 밥상차림
음양오행사상에 따른 상차림과 시식, 맛과 색깔
약선과 양념
조선왕조의 궁중음식 변천사
1일 7식을 먹은 조선의 상층부
명나라 사신에게 제공한 소선 조반상
최상층부의 안주와 행주
잘못된 음주문화
점심의 유래
혼례음식문화 = 106
처가살이혼에서 시집살이혼으로
임진왜란 이후의 반친영혼
현구고례
제사음식문화 = 123
기신제·시제(묘제)·다례
불교와의 융합이란 측면에서 바라본 유교의 제사음식문화
음양오행사상으로 본 제사음식문화
외식문화 = 143
장시의 발달과 국밥문화
구한말의 술집문화
요릿집 음식으로 전락한 궁중음식
조선시대 여성들의 화전놀이
제2부 | 찬품 각론
조선시대 찬품 개괄 = 166
필수식품이었던 쌀·소금·건어물·젓갈·콩·장
명나라 황제에게 보낸 식품 선물 목록
음식의 웃꾸미를 뜻한 말, 교태
원나라 《거가필용》의 영향을 받은 육류 찬품
주식류 = 174
백반·팥물밥·유반·골동반·잡곡반
죽
국수
상화와 만두
탕류 = 198
전철과 전골
승기아탕 또는 승기악탕
열구자탕·신설로·신선로
면신설로
사라져 버린 시식 - 잡탕과 골동갱
궁중식 용봉탕
관노들의 음식이었던 추어탕
병갱과 떡국
찜류 = 220
정조대왕이 잡수신 황구찜
숙종대왕이 잡수신 어묵 - 생선숙편
구이류 = 226
설야멱
느르미·느름적·어음적·화양적
병자·빈자·빙자떡·빈대떡
밥반찬이었던 젓갈 = 239
회와 조선 사람 = 242
생선회를 사서 먹은 민중들
화려했던 어채문화
육회와 갑회
버터를 만든 사람 - 수유치 = 252
포와 절육, 하설다식과 황육다식 = 254
나물 = 257
정조대왕이 잡수신 나물 찬품
잡채와 밀쌈에서 생겨난 지금의 구절판
진채식인 콩나물과 숙주나물
궁중의 청포채에서 유래된 탕평채
초시에서 유래된 고초장 = 267
고추가 보급되기 전 김치에 넣었던 천초 = 269
유밀과 = 275
매엽과
약과
유밀과와 당속
떡 = 287
어떤 종류의 떡을 먹었을까
화전
음청문화 = 298
가양주문화 = 301
참외를 즐겨 먹었던 조선사회 = 306
시식과 절식 문화 = 310
참고문헌 316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