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한자의 인입과 사용
제1절 한자의 인 입 = 1
1. 중국한자개관 = 1
2. 한자사용의 가능성 = 4
3. 한자의 인입과 한문의 정척 = 9
제2절 한어음운사에 대한 간단한 회고 = 17
제3절 조서한자음의 제 문제 = 31
1. 조선한자음의 원류 = 32
2. 현대조선한자음체계 = 50...
더보기
목차 전체
제1장 한자의 인입과 사용
제1절 한자의 인 입 = 1
1. 중국한자개관 = 1
2. 한자사용의 가능성 = 4
3. 한자의 인입과 한문의 정척 = 9
제2절 한어음운사에 대한 간단한 회고 = 17
제3절 조서한자음의 제 문제 = 31
1. 조선한자음의 원류 = 32
2. 현대조선한자음체계 = 50
3. 고려전기와 리조전기의 조선한자음 = 64
4. 조선한자음의 변화 = 79
5. 조선어어음체계내에서의 한자음의 특성 = 98
6. 조선한자음과 민남방언과의 간단한 대비 = 102
제4절 고대조선에서의 한자사용(1) -한문의 직접적사용 = 114
제5절 고대조선에서의 한자사용(2) -한자의 조선식사용 = 123
1. 고유명사표기 = 127
2. 문장의 표기 = 131
1) 서기체 = 131
2) 리찰 = 133
3) 향찰 = 136
3. 구결식 독송법 = 138
제6절 한자의 조선식사용 용법개관 = 141
1. 한자사용에서의 표기방법 = 141
2. 한자의 조선식사용 구성요소 = 145
제7절 조선한자의 창조 = 151
1. 조선한자 = 152
2. 조선한자의 의미와 음 = 160
3. 조선한자와 충국한자의 관계 = 163
제2장 조선문자의 창제와 한자
제1절《훈민정음》의 창제 = 169
1. 세종의 문자창제 = 169
2. 문자창제의 리론적기초와 중국음운학 = 174
3. 혼용체문장의 시초 = 202
4. 한문의 성행과 정음의 피난 = 208
5. 한문의 통치적지반과 과거제도 = 217
제2절 리조시기의 한자학 = 222
1. 교정운서《동국정운》= 222
2. 통용자서《훈몽자회》= 232
3.《류합》과《천자문》= 241
4.《전운옥편》 = 245
제3절 한어어휘의 대량적인 인입 = 252
1. 한어에 기원을 둔 어휘의 류형 = 252
2. 조선한자어휘와 한어어휘의 관계 = 270
3. 한자어증가의 력사적과정 = 285
제4절 차용어의 력사적연혁 = 300
1. 음차의 어음표준 = 300
2. 음운대응 = 303
3. 단어분류 = 311
4. 차용어의 연혁 = 316
제3장 력대조선의 한어연구
제1절 조선에서의 한어연구에 대한 간단한 회고 = 324
제2절 한어학습과 연구를 위한 운서 = 339
1.《홍무정운역훈》= 339
2.《사성통고》= 341
3.《사성통해》= 345
제3절 한어학습과 연구를 위한 대역서 = 378
1.《역어류해》= 378
2.《주해어록총람》= 383
3.《고금석림》= 388
제4절 역과시험을 위한 회화독본 = 393
1.《로걸대》= 393
2.《박통사》= 399
3.《오륜전비가》= 402
4. 저명한 한학자 최세진 = 405
제4장 조선에서의 한조번역
제1절 한조번역에 대한 력사적회고 = 410
1. 구두번역시기 = 413
2. 리찰번역시기 = 416
3. 언해시기 = 420
4. 명청소설번역과 번안체시기 = 429
제2절 대표적인 언해서들 = 436
1.《금강경언해》= 436
2.《두시언해》= 442
3.《대학언해》= 451
4.《로걸대언해》와《박통사언해》= 456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