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1장 판소리의 역사 들어가기
1. 판소리의 역사를 위하여 = 19
2. 판소리의 범위 = 27
3. 판소리의 구성 = 36
4. 판소리의 기원 = 43
5. 판소리사의 시대 구분 = 49

2장 판소리의 형성
1. 시대 개관 = 63
2. 판소리 형성을 위한 여정 = 68
1) 형성에 관여한 사람들 = 68
2) 판소리 문법의 확립 = 77
3) 판소리 형성의 지역적 기반 = 94
3. 판소리와 결합한 이야기의 성격 = 105
1) 전승 5가 사설의 세계 인식과 지향 = 105
2) 실창 7가 사설의 세계 인식과 지향 = 115
3) 판소리로 표현된 이야기들 = 121
4. 유진한(柳振漢)과 양주익(梁周翊)의 판소리 인식 = 124
5. 형성기의 예인들 = 127
박남(朴男) | 우평숙(禹平淑) | 송실솔(宋蟋蟀) | 원창(遠昌) | 하한담(河漢譚) | 최예운(崔禮雲) | 우춘대(禹春大) | 고수관(高壽寬) | 권삼득(權三得) | 황해천(黃海天)

3장 송흥록의 시대
1. 시대 개관 = 153
2. 송흥록(1785~1865)의 삶과 판소리사적 위상 = 157
1) 송흥록의 생애와 판소리 세계 = 157
2) 맹렬(孟烈)과의 사랑 = 165
3. 판소리의 정체성과 유파의 확립 = 171
4. 판소리 평가기준의 확립 = 181
1) 김세종의 판소리 이론 = 182
2) 신재효의 <광대가>와 사대 법례 = 185
3) 정현석(鄭顯奭)의 서간(書簡)과 판소리 이론 = 196
5. <관극절구(觀劇絶句)>와 <관우희(觀優戱)> = 201
1) 신위(申緯, 1769~1845)의 <관극절구> = 201
2) 송만재(宋晩載, 1788~1851)의 <관우희> = 205
6. 전성기의 사람들 = 208
염계달(廉季達) | 모흥갑(牟興甲) | 방만춘(方萬春) | 김용운(金龍雲) | 김성옥(金成玉) | 송광록(宋光祿) | 주덕기(朱德基) | 김제철(金齊哲) | 신만엽(申萬葉) | 이석순(李錫順) | 최낭청(崔郎廳) | 송수철(宋壽喆) | 임창학(林蒼鶴)
7. 판소리 후원자들 = 222
신재효(申在孝) | 정현석(鄭顯奭)

4장 판소리의 성장과 지속
1. 시대 개관 = 239
2. 판소리 주도층의 이동과 실창(失唱) = 246
3. <광한루악부(廣寒樓樂府)>와 <관극팔령(觀劇八令)> = 252
4. 판소리계소설의 발생 = 257
5. 대사습을 통한 명창 선발 = 264
6. 성장지속기의 명창들 = 267
박유전(朴裕全) | 주상환(朱祥煥) | 문석준(文錫準) | 송우룡(宋雨龍) | 박만순(朴萬順) | 김세종(金世宗) | 이날치(李捺致) | 김정근(金定根) | 정춘풍(鄭春風) | 전해종(全海宗) | 김거복(金巨福) | 김수영(金壽永) | 한송학(韓松鶴) | 정창업(丁昌業) | 윤영석(尹永錫) | 최승학(崔昇鶴) | 정흥순(鄭興順) | 김창록(金昌祿) | 서성관(徐成寬) | 김도선(金道先) | 안익화(安益化) | 장재백(張在伯) | 최상준(崔相俊) | 백점택(白占澤) | 이창운(李昌雲) | 전상국(全尙國) | 황호통(黃浩通) | 박상도(朴尙道) | 김충현(金忠鉉) | 성창렬(成昌烈) | 백경순(白慶順) | 이창윤(李昌允) | 오(吳)끗준 | 송재현(宋在鉉) | 배희근(裴喜根) | 장수철(張壽喆) | 강재만(姜載萬) | 김찬업(金贊業) | 양학천(梁鶴天) | 진채선(陳彩仙)

5장 판소리의 변화와 모색
1. 시대 개관 = 297
2. 창극으로의 전환 = 305
1) 창극의 형성과 협률사 = 305
2) 조선성악연구회의 창극 = 308
3) 해방기의 창극과 국극 = 311
3. 여성명창의 확대 = 313
4. 북으로 간 판소리의 행방 = 317
1) 북한식 창극의 성립 = 317
2) 북한 창극의 판소리 닮기 = 322
3) 북한 창극의 독자성 = 327
5. 전환기의 명창들 = 333
김질엽(金質燁) | 김창환(金昌煥) | 백근룡(白根龍) | 신학조(申學祚) | 박기홍(朴基洪) | 성민주(成敏周) | 유공렬(劉公烈) | 김봉학(金奉鶴) | 신학준(申鶴俊) | 전도성(全道成) | 강용환(姜龍煥) | 김채만(金采萬) | 이동백(李東伯) | 허금파(許錦波) | 조학진(曺學珍) | 김석창(金碩昌) | 김창룡(金昌龍) | 신명학(申明鶴) | 한경석(韓景錫) | 이선유(李善有) | 심정순(沈正淳) | 유성준(劉成俊) | 염덕준(廉德俊) | 김창진(金昌鎭) | 김봉문(金奉文) | 정정렬(丁貞烈) | 송업봉(宋業奉) | 강소춘(姜小春) | 김봉학(金奉鶴) | 박지홍(朴枝洪) | 송만갑(宋萬甲) | 장판개(張判介) | 공창식(孔昌植) | 김정문(金正文) | 한성태(韓成泰) | 정응민(鄭應珉) | 김추월(金秋月) | 박동실(朴東實) | 김록주(金綠珠) | 이화중선(李花中仙) | 김초향(金楚香) | 조몽실(曺夢實) | 박월정(朴月庭) | 임방울(林芳蔚) | 신금홍(申錦紅) | 배설향(裵雪香) | 강장원(姜章沅) | 조상선(趙相鮮)
6. 이 시대의 고수들 = 373
전계문(全桂文) | 한성준(韓成俊)
7. 판소리 후원자들의 모습 = 376
박석기(朴錫驥) | 이영민(李榮珉) | 김종익(金鍾翊)

6장 판소리의 전승과 보존
1. 시대 개관 = 383
2. <열사가(烈士歌)>와 창작판소리의 세계 = 393
3. 국립창극단의 설립 = 399
1) 창극단 설립의 역사 = 399
2) 창과 극의 갈등 = 403
3) 창극을 바라보는 관점 = 405
4) 창극과 연극 = 407
5) 창극의 미래 = 409
4. 무형문화재(無形文化財)의 지정 = 412
1) 무형문화재의 범위 = 412
2) 무형문화재제도의 보완 방안 = 416
5. 마당극의 형성과 전개 = 420
1) 마당극의 형성과 개념 = 420
2) 마당극과 판소리의 관련 양상 = 423
6. 판소리학회의 설립 = 428
7. 이 시대의 연창자들 = 432
박록주(朴綠珠) | 김여란(金如蘭) | 김연수(金演洙) | 정광수(丁珖秀) | 공대일(孔大一) | 신영채(申永彩) | 박동진(朴東鎭) | 김소희(金素姬) | 박초월(朴初月) | 강도근(姜道根) | 안채봉(安彩鳳) | 조농옥(曺弄玉) | 박귀희(朴貴姬) | 박보아(朴寶娥) | 박춘성(朴春城) | 성순종(成順鍾) | 홍정택(洪貞澤) | 박봉술(朴奉述) | 박후성(朴厚性) | 강종철(姜鍾哲) | 한애순(韓愛順) | 한승호(韓承鎬) | 박향산(朴香山) | 장월중선(張月中仙) | 박송희(朴松熙) | 정권진(鄭權鎭) | 정미옥(鄭美玉) | 박화선(朴花仙) | 장영찬(張泳瓚) | 박초선(朴招宣) | 최난수(崔欄洙) | 성창순(成昌順) | 한농선(韓弄仙) | 남해성(南海星) | 성우향(成又香) | 오정숙(吳貞淑) | 이용길(李龍吉) | 송순섭(宋順燮) | 이일주(李一珠) | 최승희(崔承姬) | 조상현(趙相賢)
8. 고수들의 행적 = 490
이정업(李正業) | 김명환(金命煥) | 김득수(金得洙) | 정철호(鄭哲鎬) | 김동준(金東俊) | 김성권(金成權) | 감남종(甘南淙) | 주봉신(朱鳳信) | 이성근(李成根) | 송원조(宋原助)

7장 우리 시대의 판소리
1. 시대 개관 = 499
2. 세계무형문화유산 선정 = 504
1) 세계무형문화유산 선정의 역사 = 504
2) 세계무형문화유산 선정의 의의 = 505
3) 앞으로의 실천 과제 = 512
3. 21세기의 세계문화와 판소리의 가는 길 = 521
1) 문화국가로서의 미래 = 521
2) 왜 판소리인가 = 526
3) 창극으로의 전환 = 530
4) 살아있는 판소리를 위하여 = 532
5) 득음과 유파의 중요성 = 535
4. 우리 시대의 판소리 명창 = 539
김일구(金一球) | 박정자(朴貞子) | 박계향(朴桂香) | 이임례(李任禮) | 조소녀(曺小女) | 정순임(鄭順任) | 한송희(韓松希) | 정춘실(鄭春實) | 성준숙(成俊淑) | 안향련(安香蓮) | 조통달(趙通達) | 김명신(金明信) | 이옥천(李玉千) | 박양덕(朴良德) | 은희진(殷熙珍) | 정의진(丁意珍) | 김수연(金秀姸) | 방성춘(房姓春) | 유영애(劉永愛) | 안숙선(安淑善) | 김영자(金英子) | 강정숙(姜貞淑) | 이은하 | 정옥향(鄭玉香) | 전정민(全貞敏) | 주운숙(朱云淑) | 김소영(金素瑛) | 김향순(金香順) | 고향임(高香任)
5. 우리 시대의 명고 = 555
정화영(鄭和泳) | 정회천(鄭會泉) | 박근영(朴根永) =

주(註) = 561
참고 문헌 = 611
찾아보기 = 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