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김병민
영해 김병민 선생님의 『근대 망명문인들의 문학 연구』에 부쳐-윤여탁

한국 망명지사들의 동아시아 인식과 주체성
-중국 내 발행 잡지 자료를 중심으로
1. 서론-동아시아의 정신적 가치
2. 대아정신-일본 인식과 민족 주체성
3. 공동 사명-중․한 관계 인식과 이중 주체성
4. 운명 공동체-세계 평화 인식과 다중 주체성
5. 결론-주체성과 지식 담론 기획

망명과 상상: 한국 망명지사들의 중국체험서사의 전개 양상과 의식세계
1. 들어가는 말
2. 타자의 시각: 중국혁명서사와 가치의 재정립
3. 결사의 선택: 의열투쟁서사와 영웅적 거사
4. 저항의 주체: 항일무장투쟁서사와 중․한 연대
5. 존재의 이유: 망향․애환서사와 정체성 담론
6. 경계의 넘기: 다중 언어 글쓰기와 공동서사
7. 나오는 말

단재 신채호의 철학과 그 인간상
1. ‘아(我)’와 ‘비아(非我)’-단재의 철학관
2. 불요불굴의 항일 투사-단재의 인생관
3. 불세출의 역사학자-단재의 역사관
4. 불면불휴의 작가-단재의 문학관
5. 결어

대화와 상상: 단재 신채호의 동아시아 인식과 근대상상
1. 들어가는 말
2. 신채호의 일본 인식과 동양주의 비판
3. 중․한 관계 인식과 ‘동양평화론’
4. 미래기획-근대상상의 역사적 변천
5. 결론

신채호의 문학창작유고에 대한 자료적 고찰
1. 유고의 보존과 발견 및 공개상황
2. 공개된 문학창작유고와 문학창작유고 원본 간의상이점
3. 공개되지 않은 유고 및 문학유고에 대하여

중국 망명시기 예관 신규식의 의식세계와 문학상상
1. 들어가는 말
2. 민족의식과 근대 지향
3. 동아시아 인식과 세계평화 지향
4. 탈경계 체험과 문학상상
5. 나오는 말

독립투사 신규식 시인과 애국지사 도야공 선생

유자명의 생애와 의식세계
1. 들어가는 말
2. 독립투쟁의 나날과 투철한 민족관
3. 이역만리의 생활 체험과 열렬한 애국관
4. 교육가, 농학자의 품위와 유물론적 과학관
5. 성실과 믿음, 사랑과 존경으로 일관된 인도주의와 국제주의
6. 나오는 말

저항과 상상: 망명공간과 중국체험서사
-유자명의 산문의 경우
1. 서론
2. 북벌혁명서사와 시국 인식
3. 항일전쟁서사와 연대의식(conscience solidaire)
4. 의열단투쟁서사와 민족의식
5. 결론

유자명과 이육화, 그리고 어린 생명에 대한 예찬
1. 투사-문인, 학자로서의 유자명
2. 유자명과 이육화의 깊은 인연
3. 어린 투사-생명에 대한 예찬

조소앙 저 『유방집』의 의식세계와 중국 현대 문화와의 관련에 대한 고찰
1. 서론
2. 유방백세(遺芳百世): 『유방집』의 간행 경위
3. 의열서사: 『유방집』의 의식세계
4. 공동 담론: 『유방집』과 중국현대사회의 관련 양상
5. 결론

황개민과 한국 망명지사들의 사상문화교류
-「37년 유희몽(三十七年遊戱夢)」에 대한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2. 만남과 연대(連帶): 황개민의 대동당 설립과 한국애국지사
3. 공존과 협력: 황개민과 한국독립운동
4. 믿음과 격려: 황개민의 시문(詩文)으로 보는 한․중 애국지사의 우애
5. 나오며

망명 문인 이두산의 문학사상과 창작특징에 대한 고찰
1. 서론-망명 지성사의 환원(還原)을 위하여
2. 문학사상과 세계문학 인식
3. 문학적 대응과 상상력
4. 결론-경계선 넘기와 문화 혼종성

‘조선의용대’ 관련 항일서사에 대한 문화적 고찰
-『전선에서의 조선의용대』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조선의용대’ 관련 항일서사의 일반상황
3. 항일담론과 대적무장선전
4. 영웅 담론과 한․중 협동작전
5. 이중주체와 정체성특징
6. 나오며

조선의용대 항전문예 활동에 대한 고찰
1. 서론
2. 문예창작의 전개양상
3. 연예활동과 음악교육의 양상
4. 가극과 연극의 갈등과 민족특색
5. 결론

김병민 교수 저술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