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v
제 1 부 도입
1장 연구 개관 = 3
1.1. 연구 대상과 목적
1.2. 논의의 구성

2장 언어 자료 = 11
2.1. 언어 자료의 수집
2.2. 언어 자료의 어족별 분류
2.3. 언어 자료의 지역별 분류

3장 종성의 정의와 범위 = 25
3.1. 종성의 정의
3.2. 종성의 범위

제 2 부 음절 종성의 유형론적 양상
4장 음절 종성의 일반론 = 35
4.1. 음절 종성의 일반적 특징
4.2. 음절 종성의 구조

5장 음절 종성의 양적 유형론 = 63
5.1. 종성의 수와 비율
5.2. 종성의 빈도

6장 음절 종성의 질적 유형론 = 91
6.1. 선호되는 종성 목록
6.1.1. 자음 개수로 본 종성 목록의 선호도
6.1.2. 자음 부류로 본 종성 목록의 선호도
6.2. 종성 실현과 조음 방법
6.3. 종성 실현과 조음 위치
6.4. 음절 종성의 함의 관계

제 3 부 한국어 종성 체계의 유형론적 검토
7장 한국어 종성 체계의 개관 = 185
7.1. 후기 중세 한국어의 종성 체계
7.2. 후기 중세 한국어 이전의 종성 체계
7.3. 후기 중세 한국어 이후의 종성 체계

8장 한국어 종성 실현의 공시론과 통시론 = 199
8.1. 한국어 종성 실현의 공시론
8.2. 한국어 종성 실현의 통시론

9장 한국어 종성 체계의 유형론적 특징 = 215
9.1. 양적 측면의 유형론적 특징
9.2. 질적 측면의 유형론적 특징
9.3. 한국어 종성 체계의 변천에 대한 유형론적 검토

10장 중세 한국어 종성 자음군의 유형론적 특징 = 225
10.1. 종성 자음군의 언어 유형론
10.2. 중세 한국어 종성 자음군의 유형론적 검토

제 4 부 결론 및 종성 자료
11장 결론 = 253

12장 종성 관련 자료 모음 = 255
12.1. 종성 빈도
12.2. 종성 목록

참고문헌 = 373
Abstract = 383
찾아보기 = 385
발간사 = 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