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1장. 영어 학습의 사회적 의미 = 13
1.1. 영어 학습을 둘러싼 세속적 출세 지향 동기와 경쟁적 동기
1.2. 분신 가족주의가 투영된 영어교육
1.3. 보험으로서의 영어교육
1.4. 키치(Kitsch)로서의 영어교육
1.5. 문화자본으로서의 영어교육
1.6. 요약

2장. 개화기 구한말의 영어교육 - 1883년에서 1910년까지 = 45
2.1. 배경: 19세기 조선과 서양의 영향
2.2. 19세기 후반 영어교육의 확산
2.3. 초기 기독교 학교(Missionary School)들의 영어교육에의 기여
2.3.1. 배재학당
2.3.2. 이화학당
2.3.3. 경신학교
2.4. 구한말 영어학습의 선구자들
2.5. 요약: 구한말의 영어 학습 열풍과 그 원인

3장. 일제강점기 조선의 영어교육 - 1910년에서 1945년까지 = 87
3.1. 배경
3.2. 연구 방법
3.2.1. 분석 대상
3.2.2. 분석 방법
3.3. 연구 결과
3.3.1. 일제강점 초기 10년(1910~1919년): 영어교육 억압기
3.3.2. 제1기(1920~1922년 초): 영어교육 재건기
3.3.3. 제2기(1922년 말~1937년): 영어교육 안정기
3.3.4. 제3기(1938~1945년): 영어교육 소멸기
3.4. 요약

4장. 미군정기와 제1차 교육과정기의 한국 영어교육 - 1945년에서 1963년까지 = 123
4.1. 배경
4.2. 연구 방법
4.2.1. 분석 대상
4.2.2. 분석 방법
4.3. 연구 결과
4.3.1. 미군정기(1945~1954): 혼란스러운 비체계적 영어교육
4.3.2. 제1차 교육과정기(1954~1963): 체계적 영어교육의 태동기
4.4. 요약

5장. 제2차 및 3차 교육과정기의 한국 영어교육 - 1963년에서 1981년까지 = 153
5.1. 배경
5.2. 연구 방법
5.3. 연구 결과
5.3.1. 제2차 교육과정(1963.2~1973.1)
5.3.2. 제3차 교육과정(1973.2~1981.11)
5.4. 제2차 및 3차 교육과정이 현재 한국 영어교육에 주는 시사점
5.5. 요약

6장. 제4차 및 5차 교육과정기의 한국 영어교육 - 1981년에서 1992년까지 = 181
6.1. 배경
6.2. 연구 방법
6.3. 연구 결과
6.3.1. 제4차 교육과정(1981.12~1987.6)
6.3.2. 제5차 교육과정(1987.7~1992.9)
6.4. 제4차 및 5차 교육과정이 현재 한국 영어교육에 주는 시사점
6.5. 요약

7장. 제6차 교육과정기의 한국 영어교육 - 1992년에서 1997년까지 = 217
7.1. 배경
7.2. 연구 방법
7.2.1. 분석 대상
7.2.2. 분석 방법
7.3. 연구 결과
7.3.1. 입시 외 일반영어
7.3.2. 영어 학습매체
7.3.3. 학교 영어교육
7.3.4. 과외 및 입시학원
7.3.5. 영어교사 및 강사
7.4. 제6차 교육과정이 현재 한국 영어교육에 주는 시사점
7.5. 요약

8장. 제7차 교육과정기의 한국 영어교육 - 1997년에서 2007년까지 = 249
8.1. 배경
8.2. 연구 방법
8.2.1. 분석 대상
8.2.2. 분석 방법
8.3. 연구 결과
8.3.1. 사교육 열풍
8.3.2.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노력
8.3.3. 각종 영어 시험 시행
8.3.4. 해외 취업 및 이민
8.4. 제7차 교육과정이 현재 한국 영어교육에 주는 시사점
8.5. 요약

9장.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 한국의 영어교육 변화 - 2007년부터 2020년대까지 = 281
9.1. 배경
9.2. 연구 방법
9.2.1. 분석 대상
9.2.2. 분석 방법
9.3. 연구 결과
9.3.1. 영어교육 경험
9.3.2. 영어교육정책 및 인식
9.3.3. 영어 교·강사
9.3.4. 영어교육 커리큘럼
9.3.5. 수험영어
9.4. 2007개정 이후 교육과정이 현재 한국 영어교육에 주는 시사점
9.5. 요약

10장. 한국 영어교육 140년의 회고와 전망 = 311
10.1. 한국 영어교육 140년의 변화
10.2. 영어교육의 미래: 학령인구 감소와 영어교육 양극화

참고문헌 = 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