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문제의 범위
1.2 원시언어
1.3 도상, 지표, 상징
1.4 송신자-수신자 이론
1.5 경험적 제약과 언어의 진화
2. 원시언어를 향해 = 93
2.1 대형유인원 기준선
2.2 언어 모자이크
2.3 몸짓의 중요성
2.4 초기 호미닌: 이족보행의 인지적 결과
3. 이족보행 인류의 기호와 말 = 161
3.1 최초의 호미닌이 거둔 성공
3.2 단어를 향해: 구조
3.3 의사소통, “지금 그리고 여기”로부터의 해방
3.4 능력, 이해, 유연성
3.5 어휘 확장을 위한 인지적·문화적 원동력
3.6 호모 에렉투스에서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로
4. 합성기호 = 217
4.1 몸짓과 구조
4.2 합성기호
4.2.1 가리키기
4.2.2 도상
4.3 최초의 합성기호
4.4 더 복잡한 합성기호
5. 문법 구조 = 259
5.1 문제의 형태
5.2 기준선 능력
5.2.1 해석
5.2.2 생성
5.3 구문의 쉬운 문제
5.4 계층적 구조: 언어학적 관점
5.5 계층적 구조: 신경과학적 관점
5.6 플라이스토세 초·중기의 기술적 진화
5.7 인간의 계층적 인지 진화
6. 불 주변 이론: 기호에서 말로의 전환 = 329
6.1 몸짓에서 말로의 전환
6.2 말의 구조
6.3 불, 요리 그리고 입의 해방
6.4 웃음과 노래
6.5 불이 미친 영향
6.6 누가, 어디서, 언제?
7. 원시언어에서 언어로 = 379
7.1 협력의 변화
7.2 새로운 협력 방식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
7.2.1 분업
7.2.2 호혜관계
7.2.3 밴드(집단) 사이의 협력
7.3 사회적 스트레스 해소
7.3.1 규범
7.3.2 친족관계
7.3.3 이야기와 가십
7.4 후기 인류가 협력을 잘하게 된 이유
7.4.1 본질적 인지적 차이
7.4.2 반응적 공격성의 감소
7.4.3 환경적 스트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