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제1장 고대인도의 범어(梵語) 문법
1. 범어(梵語)와 범자(梵字)
2. 브라미(Brāhmi) 문자의 변천
3. 범어(梵語) 불경의 한역(漢譯)과 실담(悉曇) 문자
4. 파니니 <팔장>의 문법 및 음운 연구
5. 범자(梵字)의 문자 교육

제2장 중국의 자학(字學)과 운학(韻學)
1. 시경(詩經)의 연구와 운학(韻學)의 발달
2. 한자음의 반절(反切)과 성운학(聲韻學)
3. <용감수경(龍龕手鏡)>과 불경의 번역
4. 중국어 표기에서 한이문(漢吏文)

제3장 중국 주변 여러 민족의 문자 제정과 언어 연구
1. 일본의 가나(假名) 문자
2. 범자(梵字) 계통의 문자
3. 한자의 변형 문자
4. 북셈(Northern Semitic) 문자 계통

제4장 한글의 창제와 조선어의 음운 연구
1. 세종의 가족과 제정한 훈민정음
2. 새 문자 제정의 동기
3. 세종이 새 문자로 제정한 글자 수효

마치기 Ⅰ―동양 언어학사 고찰의 의의



제2부

제1장 서양고전문법의 정립(定立)
1. 희랍의 언어 연구
2. 로마의 라틴 문법
3. 프리스키아누스의 <문법 교정(敎程)>

제2장 중세시대의 언어 연구
1. 시대의 개관
2. 사변(思辨)문법

제3장 문예부흥에서 18세기말까지의 언어 연구
1. 새로운 언어의 발견과 토착어의 등장
2. 새로운 언어 연구
3. 이 시대 언어 연구의 특징

제4장 19세기의 역사주의와 비교언어학
1. 역사비교언어학의 태동 - Sir William Jones
2. 언어 연구의 생물학적 자연주의
3. 방언연구와 언어지리학

제5장 20세기의 공시(共時)언어학
1. 소쉬르(Saussure)의 언어 연구
2. 서구(西歐)의 여러 학파
3. 프라하학파의 기능주의 언어 연구
4. 코펜하겐학파의 언어대수학
5. 미국의 구조주의 언어 연구
6. 20세기 초엽의 러시아 언어학

제6장 촘스키(Chomsky)의 변형생성문법론
1. 20세기 후반의 후기구조주의 언어학
2. 변형생성문법론
3. 촘스키 이론의 철학적 배경

마치기 Ⅱ―서양 언어학사 고찰의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