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도움말 = 8
프롤로그
보통명사, 모자 = 9
왜 이 책을 쓰는가? = 11
연민의 기록 = 12

제1장 모자 왕국의 추억
모자 왕국에서 온 초대장 = 17
모자 왕국의 과거 = 19
모자 왕국의 현재 = 21
조선의 모자 탄생 = 23

제2장 파란 눈에 비친 조선의 모자
서양인이 기록한 조선의 모자 = 29
실용주의 시각으로 본 조선의 모자 = 39
서양의 문명관으로 본 조선의 모자 = 41

제3장 조선은 왜 모자 왕국이 되었을까?
조선의 모자, 그 뿌리는 상투 = 50
상투의 기원과 변천 = 53
상투와 조선의 성리학 = 55
존두사상과 의관정제 의식 = 58
민영환의 의관정제 의식 = 63
518년 장수 국가 조선의 문화 지속성 = 66

제4장 조선의 모자와 신분제도 그리고 성리학의 허와 실
숙명, 신분제도와 조선의 모자 = 73
신분제도, 너는 누구냐? = 75
양반의 조건 = 79
양반, 포기할 수 없는 특권 = 80
중인이라는 계층 = 82
나라의 근본, 양인 = 83
모태 속의 노비 = 84
조선인의 미의식, 신분제도를 초월하다 = 86
조선의 지존, 성리학의 허와 실 = 88

제5장 조선에는 어떤 모자가 있을까?
관모의 분류 = 97
5-1 조선 왕실에서는 어떤 모자를 썼을까? = 100
5-2 문ㆍ무관ㆍ선비는 어떤 모자를 즐겨 썼을까? = 116
5-3 궁중 의식에서는 어떤 모자를 썼을까? = 160
5-4 서민들은 어떤 모자를 썼을까? = 168
5-5 조선 여인들은 어떤 모자를 좋아했을까? = 194
5-6 서양인들을 설레게 했던 조선 여인의 난모 = 219
5-7 남자들도 난모를 쓴다고? = 242
5-8 난모의 흑역사 = 248

제6장 갓, 조선 선비의 멋
갓, 笠子의 탄생 = 255
원과 직선의 만남 = 257
갓이면 모두 갓인가? = 259
갓, 어떻게 만들까? = 262
운종가 입전 이야기 = 270
갓, 서양인의 상반된 인식 = 275
서양인의 눈에 비친 조선과 조선인 = 279
갓, 신분을 나누는 경계 = 288
갓, 그 당당함의 정체성 = 291
갓장이와 갓 장인(匠人) = 293
갓과 조선인의 해학 = 295

제7장 갓, 숨겨진 비밀
조선인의 우주관과 성리학의 상징 = 301
갓, 은밀한 문양을 숨기다 = 305
50그램도 안 된다고? = 308
부와 사치의 적장자 = 310
변화무쌍한 유행의 첨병 = 313
조선 선비의 미의식 = 317
갓 쓴 불한당 = 320
갓, 어두운 과거의 유산 = 322
집을 소유한 갓 = 326
갓은 왜 서둘러 떠났을까? = 327

제8장 조선의 모자, 조선을 떠나다.
옷을 바꿔 입으라! 도포를 두루마기로! = 335
악연, 단발령과 조선의 모자 = 338
낯선 동거, 갓과 중절모, 따개비 모자와 두루마기 = 343
문화의 충돌, 신문화의 도래 = 346

에필로그
모자 왕국의 귀환 = 350
역사의 경계(警戒) = 351
책을 닫으며 = 353

참고서적 = 356
부록
갓과 관련된 조선 시대의 속담 = 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