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5
제1장 역사기록물의 개념과 용어 = 13
1. 개념 정립의 배경 = 15
2. 개념의 역사적 변천 : '장소'에서 '유기적 관계의 문서들 전체'로 = 20
3. 현대기록물관리 : 용어의 문제 = 35
제2장 역사기록물관리와 (중세의) 법적 공신력 = 55
1. 배경 = 57
2. '공신력'의 성립과 발전 = 59
3. 공증인과 자치도시 문서들의 공신력 = 67
4. 대학의 문서들 = 71
5. 교회, 가문, 그리고 상인의 문서 = 73
6. 맺음말 = 76
제3장 역사기록물의 활용 = 79
1. 활용의 유형 = 81
2. 역사기록물 : 역사연구를 위한 자료 = 92
3. 역사기록물에 대한 다양한 학술적 관점 = 104
4. 서양의 고문서관리와 연구의 전통 = 119
5. 역사기록물과 미시사 연구 = 145
6. 역사기록물관리를 위한 비평적 연구 = 167
7. 우리나라 역사기록물관리의 현주소와 문제점 = 184
8. 역사기록물 활용의 사례 = 189
제4장 민주주의와 역사기록물 = 207
1. 민주주의와 인권 그리고 역사기록물의 역할과 기능 = 209
2. 기록물관리 : 시민의 권리와 권력의 균형 = 239
제5장 기업의 역사기록물관리 = 291
1. 배경 = 293
2. 이탈리아의 기업기록물관리 = 295
3. 기업의 역사적 가치 구현 = 302
4. 바릴라 그룹의 역사기록물관리 = 307
5. 맺음말 = 324
참고문헌 = 327
찾아보기 = 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