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1 정보봉사론_05

정보봉사 일반_10
정보봉사의 개념_10
정보봉사의 기능_11
정보봉사의 제공수준_13
정보봉사의 필요성과 발전_14
참고사서_15

정보봉사의 평가_18
평가의 개요_18
평가유형과 기법_19

이용자교육_24
이용자 교육의 의의_24
이용자교육의 유형_24
이용자교육의 방법_25
이용자교육의 운영_26
정보리터러시_27

보봉사의 과정_31
이용자의 정보요구와 이용행태_31
정보요구의 형성과 참고질문_33
정보면담과정_35
탐색전략 수립_36
탐색실행 단계_36
해답제공 단계_36

디지털정보봉사_39
온라인 참고봉사의 개념_39
디지털 참고봉사의 유형 및 특징_39
협력형 디지털정보서비스_40
가상 참고서가_40

도서관 네트워크와 원문서비스_41
개념_41
발전과 기능_41
네트워크_42
해외 도서관 네트워크_44
원문서비스(상호대차와 전문서비스)_45

참고정보원_49
정보자료의 유형_49
참고정보원 선택평가_49
참고정보원의 이해_50
온라인 전자정보원_57
인용 및 참고문헌 수록 양식_58

02 정보검색론_60 _

정보검색과 시스템 일반_64
정보검색의 개념_64
정보검색의 발전_64
정보검색의 내용과 구분_65
정보검색시스템의 유형과 특성_65
인터넷 정보검색시스템_66

색인_69
색인의 의미와 기능_69
색인의 종류와 특성_69
색인언어_73
시소러스_74
자동색인_76
초록_78
범주화_80

정보의 축적_84
파일의 종류와 특징_84
데이터베이스_85

정보탐색의 실제_88
정보탐색과정 모델_88
정보탐색 전략수립 및 수립과정_88
정보검색 기법_89
브라우징 탐색_94

정보검색 시스템 평가_97
정보검색시스템 평가 기준_97
검색효율척도_97
재현율과 정확률의 평균치 산출기법_98
성능곡선과 측정척도_98
검색결과의 순위화_99
사용성(usability)의 평가_100
검색결과의 결합_100

차세대 정보검색_101
시멘틱 검색과 FRBR_101
온톨로지_101

03 디지털 도서관론_102

디지털도서관구축_108
역사_108
도서관전산화 시스템의 기능_108
도서관전산화시스템의 분석 및 설계_108
디지털 도서관의 개념과 구성_109

디지털 장서관리_112
디지털 장서의 개념 및 유형_112
디지털 장서의 개발_112
Open Access와 Digital Archiving_114
디지털 장서의 보존과 관리_116
디지털 객체 유형과 주요 포맷_119

메타데이터 관리_121
메타데이터의 개요_121
메타데이터 스키마와 상호운용_122

디지털도서관 네트워크 기술_129
인터넷 정보통신 일반_129
요소기술 관리_130
통합검색 요소기술_131
디지털도서관과 기본프로토콜_132

차세대 디지털도서관 서비스_135
차세대 디지털 도서관서비스_136
도서관 2.0_138

저작권_141
디지털 도서관과 저작권_141
저작권요소, 권한표현언어와 콘텐츠 보호기술_142
개방환형에서 디지털 자원의 이용_142

04 부록_142
정보서비스 주요 용어/정보원_146
정보검색 주요 용어_154
디지털 도서관 주요 용어_158
정보리터러시 모델_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