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인사말 = 5
프롤로그 Prologue = 6

16세기 말~17세기 초 동아시아 연표 = 8
[칼럼] 조선 후기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지도 (장상훈) = 18

1. 병자호란 이전 동아시아의 국제 정세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 East Asia before the Manchu Invasion 1618-1627

1. 광해군의 대명•대후금 정책과 사르후 전투 = 24

2. 조선 인조의 집권과 명 조정의 대조선• 대후금 정책 = 36
[칼럼] 《항해조천도>에 나타난 조선과 명의 관계 (이효종) = 50

3. 후금의 조선 침입과 조선의 항전 = 54

II. 청 제국의 성립과 조선의 대응

Establishment of the Qing Dynasty and Joseon''s Response 1628-1636

1. 화약'' 이후 조선•후금 관계와 위축되는 명의 군사력 = 66

2. 조선의 척화론 = 82

3. 조선의 군사 •외교적 대책 = 98

III. 병자호란의 발발과 조선의 패전
The Manchu Invasion in 1636 and the Defeat of Joseon 1636-1637

1. 청군의 기습과 조선군의 대응 = 112

[칼럼] 호렵도, 만주인의 사냥 그림에 담긴 조선인의 포부와 염원 (최유미)= 124

2. 인조의 남한산성 피신 = 130

[칼럼] 병자호란을 기록한 실기의 현전 현황 (박선숙) = 152

3. 강화도의 함락과 조선의 항복 [칼럼] 숭정 12년명 홍이포의 특징과 입수 경위 (최보배 • 정현진) = 158
[칼럼]] 숭정 12년명 홍이포의 특징과 입수 경위 (최보배, 정현진) = 170


Ⅳ조선의 전후 처리와 조청관계
1. 세자의 ''북행''과 청나라의 산해관 진입 = 178
2. 전란 이후 조명 관계와 조선의 제도 정비 = 192
3.전쟁의 상처: 피난, 전망, 그리고 피로인 = 202
[칼럼] 17-19세기 병자호랄ㄴ 관련 서사문학을 이해하는 또 다른 시각(강원표) = 210
[칼럼] 병자호란 전후 시대를 다룬 역사극(김명훈) =218

에필로그 = 224

논고 = 230

부록 = 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