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글 문장 부호 코드 체계 개선안 심우진
제1장 연구 개요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3
1.2 연구의 범위 및 내용 =4
1.3 연구의 방법 = 7
1.4 연구의 결과의 활용 방안 및 기대 효과

제2장 범위 지정
2.1 KS 코드 표준 조사 = 9
2.2 KS 코드 체계의 비교 분석 = 13
3.3. 기본 개선 방향 = 15

제3장 KS 코드의 조사와 비교 분석
3.1 문자 이름 = 16
3.2 꼭지(문자 영역, Character set) 이름 = 17
3.3. 문장 부호 구분 체계 = 19
3.4 문장 부호 레벨 구분 = 20
3.5 코드 신설 제안 = 25
3.6. 코드 신설 문자와 이유 = 26
3.7 코드 맵핑 대상 문자 = 31

제4장 결론
4.1 한글 문장 부호 코드 표준 페계 1.0
4.2 국어연구원 문장부호 표기 규정안 코드 제안 1.1
4.3 향후 계회과 후속 연구 = 111


한글 문장부호 코드 현황 조사 및 코드 호환화 추가 제안 노영권, 김대권

제1장 연구 개요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15
1.2 수집의 범위 = 116

제2장 한글 문자 집합
2.1 KS zhem = 117
2.2 맥 확장 코드 = 119
2.3 Adobe Korea 1-2

제3장 한글 인코딩과 유니코드로의 변환
3.1 유니코드 소개 = 125
3.2 유니코드 사용으로의 전환 = 134

제4장 한글 문장부호의 수집
4.1 한글 폰트 문장 부호 조사 = 138
4.2 범위 선정 방법 = 181
4.3 범위 선정 진행 = 183
4.4 문자 집합 범위 선정 = 215

제5장 인코딩 별 유니코드 컴토
5.1 인코딩 조사 범위 = 230
5.2 인코딩 별 유니코드 빕교 = 230
5.3 인코딩별로 유니코드가 다른 문자 확인 = 245
5.4 통일된 유니코드 제안 = 246
5.5 호환용 문장부호 분리 = 251
5.6 문자집합 결과 = 260

제6장 맺음말
6.1 한글 문장부호 조사의 취지 = 268
6.2. 결론 = 268
6.3 필요 후속 연구 = 268

부록
부록 A.맥 확장코드 일람표 = 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