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 3

Ⅱ. 문헌연구 = 9
1. 현지 외국어 교육 방향 = 9
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 12
2.1한국어 몰입식 이중언어 교육 = 12
2.2 초등학교 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 14
2.3 중고등학교 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 14
2.4 대학교 외국어 교육 = 15
3. 미국 내 외국어 능력 평가 = 16
3.1 SAT = 16
3.2 NEWL = 19
3.3 IB = 20
3.4 ACTFL = 22
3.5 AAPPL = 22
4. 현지 계승어의 사회적 개인적 중요성 연구 = 23

Ⅱ. 현지 계숭어 연구, 현황 및 동향 분석 = 29
1. 계승어 교육 현황 = 29
2. 계승어에 대한 이론적 배경 = 30
3. 계승어 학습자의 이해 및 필요 분석 연구 = 31
4. 재외동표 교육 및 해외 한국어 교육 관련 선행연구 분석 = 32

Ⅳ. 미국 내 한국어 교육 관련 단체, 협력 및 지원 현황 = 39
1. 미국 내 한국어 교욱 관련 기관 및 단체 = 39
1.1 재미한국학교협의뢰(NAKS)
1.2 미주 한국학교 총연합회(KOSAA) = 40
1.3 미주 한국어 정규 교사 협의회(KLTA) = 41
1.4 북미한국어진흥재단의 주요 활동과 향후 과제 =42
1.5 한국어진흥재단의 주요 활동과 향후 과제 = 42
1.6 미주한국어재단 = 44
1.7 기관 간 협력 현황 = 45
2. 한국 정부 재외동표 지원 현황 = 46
2.1 재외동포 교육 = 46
2.2. 재외동포 예산 지원 =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