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15
1) 연구 목적과 필요성
2) 연구 대상과 범위
3) 선행 연구 검토
(1) 휴지와 조음 구간에 대한 연구
(2) 발화 단위에 대한 연구
4) 논의의 구성

2. 연구 방법 = 55
1) 연구 자료
2) 분석 방법
(1) 분석 대상의 판단 기준
① 발화 단위
② 조음 구간과 휴지 구간
③ 억양구와 음절
④ 문장 성분
(2) 분석 내용
① 시간적 분석
② 선율적 분석
③ 통계 분석

3. 발화의 시간 구조와 운율 실현 양상 = 87
1) 시간적 실현 양상
(1) 분석 단위별 시간 실현
① 발화 단위의 시간 실현
② 조음 구간과 휴지 구간의 시간 실현
③ 음절의 길이와 후행 휴지 길이
(2) 발화 단위의 유형별 시간 실현
① 발화 단위의 유형별 출현 빈도
② 유형별 발화 길이 실현
③ 유형별 조음 구간과 휴지 구간의 실현
④ 유형별 음절 길이의 실현
2) 선율적 실현 양상
( 1) 억양구의 실현 양상
① 조음 구간 내 억양구 형성 빈도
② 억양구 경계 성조 유형과 휴지 실현
(2) 음높이 실현
(3) 발화 유형별 선율 실현 양상
① 억양구 경계 형성 빈도
② 조음 구간의 발화 내 위치에 따른 음높이 실현

4. 한국어 발화의 운율적 패턴 = 178
1) 시간적 패턴
2) 선율적 패턴
3) 발화 운율의 성별 차이
(1) 조음 - 휴지 길이의 성별 차이와 성별 색인 기능
(2) 억양구 경계 성조의 성별 차이와 성별 색인 기능

5. 한국어 발화의 시간 구조와 운율 실현 요인 = 223
1) 화자의 발화 계획과 청자의 정보 처리
(1) 화자의 발화 계획
(2) 청자의 발화 이해
2) 발화의 통사 - 의미 구조
(1) 화제-평언의 의미 구조와 운율 실현
(2) 통사 성분과 운율 실현
3) 시간적 군집화와 발화 계획의 범위

6. 후속 연구에 대하여 = 246
1) 이동은(2023)
2) 전태희(2023)

7. 결론 = 261
참고문헌
[부록 1] 경계 성조 예시
[부록 2] 통사 성분의 발화 내 위치에 따른 출현 빈도
찾아보기 = 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