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부 서사, 그 자신 보루로 삼다
〈만복사저포기〉와〈하생기우전〉에 나타난 관습적 서사의 구축 양상과 의미 = 15
1. 서론 = 15
2. 관습적 서사의 구축 양상 = 19
3. 관습적 서사의 전승 의미 = 33
4. 결론 = 35
〈방한림전〉에 나타난 서사 전개의 특질과 의미 = 37
1. 서론 = 37
2. 서사 전개의 특질 = 42
3. 중관적 서사 전개의 문학적 의미 = 59
4. 결론 = 64
서사무가〈바리공주〉의 이야기 주조방식과 문학적 성취 = 67
1. 서론 = 67
2. 이야기 주조방식 = 72
3. 문학적 성취 = 83
4. 결론 = 91
고전소설의 동화적 문법과 해석을 향한 새로운 접근 = 94
1. 고전소설의 새 연구 지평에 부쳐 = 94
2. 서사문학 속의 동화적 문법 양상 = 99
3. 고전소설 속의 동화적 문법 전승과 변주 = 106
4. 동화적 접근의 전망과 남은 문제 = 120
제2부 타자화된 얼굴의 서사
〈숙향전〉에 나타난 ''고통''의 문학적 해석 = 127
1. 서론 = 127
2. 고통의 형상화 양상 = 130
3. 고통의 문학적 기능 = 139
4. 결론 = 152
〈숙향전〉에 나타난 환상성의 작동 방식과 의미 = 155
1. 서론 = 155
2. 환상성의 작동 방식 양상 = 158
3. 공동체적 사랑의 복원의식과 환상 담론 = 168
4. 결론 = 172
〈주생전〉에 나타난 결핍의 서사 구성 양상과 의미 = 175
1. 서론 = 175
2. 결핍의 서사 구성 양상 = 178
3. 결핍의 서사 차용으로 본 문학적 의미 = 189
4. 결론 = 192
〈심청전〉의 공동체 의식과 말하기 방식 = 194
1. 서론 = 194
2. 말하기 방식의 양상 = 198
3. 다양한 말하기 방식의 의미 = 210
4. 결론 = 214
제3부 공간 대 서사
〈김인향전〉에 나타난 원근 구도의 공간 배치와 기능 = 219
1. 서론 = 219
2. 공간 배치 양상 = 224
3. 문학적 기능 = 235
4. 결론 = 245
〈김현감호〉에 나타난 공간양상과 문학적 의미 = 248
1. 서론 = 248
2. 공간양상 = 252
3. 문학적 의미 = 261
4. 결론 = 269
논문 초출 = 271
참고문헌 = 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