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이상 일문시(日文詩)의 새로운 번역을 위한 일고(一考)
1. 들어가며
2. 이상 일문시의 새로운 번역을 위한 접근 방법
3. 이상 국문시와 일문시 초역 종결 어미 비교
4. 이상 국문시와 일문시 초역의 구문(構文) 비교
5. 나가며

제2장/ 이상 국문시의 한자어에 나타난 언어의식 연구
1. 이상의 언어의식 고찰을 위한 전제
2. 국문시에 쓰인 한자 조어의 특징과 ‘어감(語感)’의 언어의식
3. 재래 국어 한자어와 일본 한자어와 신문명어의 혼용
4. 나가며

제3장/ 이상의 「위독(危篤)」 연작시 어휘 연구
1. 들어가며
2. 「위독」 연작시에서의 ‘기능어’ 실험
3. ‘이자(二字) 한자어’ 실험과 수식어와 수식 대상의 독특한 결합
4. 나가며

제4장/ 이상 국문시의 문체 연구-서울방언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모음으로 살펴 본 서울방언의 특징과 이상의 시적 실현
3. 서울방언의 자연적 배태와 시적 투영
4. 나가며

제5장/ 이상 시에 쓰인 보조용언 ‘보다’와 ‘버리다’의 의미 생성 연구
1. 들어가며
2. 추측과 시행의 보조용언 ‘보다’로 나타나는 심리적 거리
3. 종결의 보조용언 ‘버리다’로 강화되는 비가역성의 시간
4. 나가며

제6장/ 이상 시와 임화 시에 나타난 서울방언 비교 연구
1. 들어가며
2. 이상 시와 임화 시에 나타난 서울방언 실현 양상 비교
3. 내면의 독백과 현실의 서사적 재현에 따른 서울방언 실현의 상이함
4. 나가며

제7장/ 병원인 세상을 응시하라-「오감도(烏瞰圖) 시제사호(詩第四號)」
1. 「詩第四號」와 일문시 「建築無限六面角體-診斷 0:1」 비교
2. 「烏瞰圖 詩第四號」 연구사 검토
3. 병원인 세상을 응시(凝視)하라

부록/
임화의 언어의식과 『현해탄』의 어문정리 실천에 관한 고찰-서울방언을 중심으로
1930년대 문예지 『조선문단』, 『조선문학』, 『문장』에 나타난 서울방언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