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5
일러두기 = 9

제1장 한국 고전시가사의 서술과 시대구분 = 15

제1절 한국 고전시가사의 의의와 서술
1. 한국 고전시가사의 의의
2. 한국 고전시가사 서술의 내용과 방법
제2절 한국시가사 시대구분
1. 시대구분의 원리와 고려사항
2. 한국시가사 시대구분

제2장 상고시대 = 37

제1절 한민족 형성 종족들의 활동과 언어‧문자사용
1. 한민족을 형성한 종족들의 활동
2. 언어와 문자사용
제2절 상고시대의 시가 발달
1. 고조선의 시가
2. 부여‧옥저‧예와 삼한의 시가

제3장 삼국시대 = 67

제1절 삼국시대 전‧중기의 시가 발달
1. 삼국시대 전‧중기의 시가 발달 환경
2. 고구려‧신라‧백제의 시가 발달
3. 여타 나라들의 시가 발달
4. 삼국시대 전‧중기 시가의 특질과 의의
제2절 삼국시대 후기의 시가 발달
1. 삼국시대 후기의 시가 발달 환경
2. 신라의 시가 발달
3. 고구려‧백제‧가야의 시가 발달
4. 삼국시대 후기 시가의 특질과 의의

제4장 남북국시대 = 113

제1절 통일신라의 시가 발달
1. 통일신라의 시가 발달 환경
2. 10구체 향가의 융성과 쇠퇴
3. 8행 형식 시가 작품들과 그 성격
4. 4구체 향가와 민요의 발달
5. 실전 시가
6. 주요 작품들의 성과와 영향
7. 통일신라 시가의 특질과 의의
제2절 발해의 시가 발달
1. 발해의 시가 발달 환경
2. 발해의 시가 발달

제5장 고려시대 = 177

제1절 고려 전‧중기의 시가 발달
1. 고려 전‧중기의 시가 발달 환경
2. 10구체 향가의 부흥 및 쇠퇴와 그 계승 유형 출현
3. 4행 형식의 민요와 민요체 개인 창작시가의 발달
4. 기타 시가와 실전 시가
5. 주요 작품들의 성과와 영향
6. 고려 전‧중기 시가의 특질과 의의
제2절 고려 후‧말기의 시가 발달
1. 고려 후‧말기의 시가 발달 환경
2. 연형식 시가의 다양한 발달
3. 경기체가 장르의 발생과 성장
4. 단연체 시가와 비연체 시가의 발달
5. 실전 시가
6. 주요 작품들의 성과와 영향
7. 고려 후‧말기 시가의 특질과 의의

제6장 조선시대 초기, 전기, 중기 = 287

제1절 조선 초기의 시가 발달
1. 조선 초기의 시가 발달 환경
2. 조선 초기 악장의 성행
3. 경기체가의 융성
4. 한문현토체 시가의 발달
5. 무가와 기타 시가
6. 주요 작품의 특성과 영향
7. 조선 초기 시가의 특질과 의의
제2절 조선 전기의 시가 발달
1. 조선 전기의 시가 발달 환경
2. 시조의 발생과 성장 및 융성
3. 가사의 발생과 성장 및 성행
4. 경기체가의 변천과 소멸
5. 기타 시가
6. 주요 작자들의 성과와 영향
7. 조선 전기 시가의 특질 및 장르 체계와 의의
제3절 조선 중기의 시가 발달
1. 조선 중기의 시가 발달 환경
2. 시조의 발달
3. 가사의 발달
4. 기타 시가
5. 주요 작자들의 성과와 영향
6. 조선 중기 시가의 특질과 의의

제7장 조선시대 후기, 말기 = 433

제1절 조선 후기의 시가 발달
1. 조선 후기의 시가 발달 환경
2. 시조의 다변화
3. 사설시조의 대두와 발전
4. 가사의 융성과 다양화
5. 기타 시가
6. 주요 작자들의 성과와 영향
7. 조선 후기 시가의 특질과 의의
제2절 조선 말기의 시가 발달
1. 조선 말기의 시가 발달 환경
2. 시조의 쇠퇴와 사설시조의 변천 및 쇠퇴
3. 가사의 다변화
4. 민요와 잡가의 발달
5. 기타 시가
6. 주요 작자 및 작품의 성과와 영향
7. 조선 말기 시가의 특질 및 장르 체계와 의의

제8장 근대의 전통 시가 = 555

제1절 개화 계몽기의 전통 시가
1. 개화 계몽기의 전통 시가 발달 환경
2. 시조와 사설시조의 발달
3. 가사의 발달
4. 언문풍월의 유행과 민요 개작
5. 잡가와 통속민요의 음악계에서의 발달
6. 전통 시가 장르들과 신흥 시가 장르들의 영향 관계
7. 개화 계몽기 전통 시가의 특질과 의의
제2절 자유시 성장기의 전통 시가
1. 자유시 성장기의 전통 시가 발달 환경
2. 시조의 부흥과 사설시조의 침체
3. 가사의 쇠퇴
4. 잡가와 민요의 음악계에서의 유행과 쇠퇴
5. 자유시 성장기 전통 시가의 특질과 의의

제9장 한국 고전시가 발달사의 특질 = 609

제1절 한국 고전시가의 계층별‧형식별 발달상
1. 계층별 발달상
2. 형식별 발달상
제2절 외국시가 및 외래시가와 음악의 영향
1. 중국시가와 한국 한시‧부의 영향
2. 노래함과 음악의 영향
제3절 한국 고전시가 발달사의 특질과 의의
1. 한국 고전시가 발달사의 특질
2. 한국 고전시가 발달사의 의의

찾아보기 = 6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