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총론
새로운 ‘아가’를 위한 아가(雅歌) / 우찬제

제1주제 박용구론
박용구, 전후문학의 또 다른 좌표 / 이철호
토론문 / 유승환
박용구 연보

제2주제 방기환론
비극의 시대에 순수를 갈망하다 / 신은경
토론문 / 노지승
방기환 연보

제3주제 정한모론
정한모 혹은 ‘시인–교수’라는 이름의 ‘운명의 지침’ / 조영복
토론문 / 박슬기
정한모 연보

제4주제 한성기론
생활 속에 구현된 자연의 의미 / 송기한
토론문 / 이형권
한성기 연보

제5주제 한운사론
아시아태평양전쟁 말기 조선인 학병의 시국 인식 / 이명원
토론문 / 오영미
한운사 연보

제6주제 홍구범론
홍구범 문학이 말하려는 것과 그 현재성 / 김정숙
토론문 / 안미영
홍구범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