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지지는 않겠다는 마음으로 = 5
1부 사회진화론의 시대, 순응과 저항
사회진화론에 대한 비판과 '생명' 인식의 변화 -『학지광』을 중심으로 = 17
1. 근대 초기 사회진화론의 영향 = 17
2.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 20
3. 생철학을 통한 사회진화론의 전유 = 27
4. 물질과 정신의 이분법 극복과 내적 생명의 자각 = 35
1920년대 내적개조의 계보와 생명주의 - 이돈화의 논설과 김우진의「산돼지」를 중심으로 = 43
1. 1920년대 개조론의 복잡성 = 43
2. '생활'을 위한 개조 = 51
3. 공허한 이상주의 비판 = 60
4. 내적 혁명의 가능성 탐구 = 69
5. 혁명에서 개조로, 다시 혁명으로 = 81
이광수의「민족개조론」과 근면한 '민족'의 탄생 = 83
1.「민족개조론」의 문제성 = 83
2. 개조ㆍ수양ㆍ자조 = 87
3. '군중'과 무질서와 '민족'의 질서 = 97
4. 감정 통제를 위한 '문학'의 도구화 = 106
1920년대 아나키즘-생태시의 출현 - 황석우 시에 나타난 '생명' 인식과 아나키즘의 영향
1. 아나키스트 황석우 = 113
2. 시인의 비애와 파토스 = 116
3. 계몽하는 예지자의 등장 = 123
4. 아나키즘-생태시의 출현 = 128
2부 재현의 글쓰기 너머
이상 문학에 나타난 분신 모티프와 메타적 글쓰기 = 139
1. 주체와 분신 = 139
2. 분신의 유형과 글쓰기의 관련 양상 = 142
3. 분신 모티프를 통한「날개」의 삽화 및 텍스트 분석 = 154
김동인과 이상 소설에 나타난 서술자의 문제성 = 165
1. 김동인과 이상 = 165
2. 자기의 창조한 세계 = 171
3. 액자만 남은 액자소설 = 178
4. 우연한 인과 = 188
이상의 글쓰기와 현전의 문제 = 197
1. 이상의 글쓰기 = 197
2. 이상과 분신들 = 200
3. 서술자의 층위와 변주되는 텍스트 = 211
4. 사소설에 대한 저항과 기호의 인용 가능성 = 218
5. 남은 문제들 = 225
3부 아방가르드와 초현실주의 문학의 계보
1920년대 아방가르드의 분화와 균열 = 229
1. '신흥문예' 개념의 문제성 = 229
2. 미술계의 '아나ㆍ볼' 논쟁 = 236
3. 감각의 파괴ㆍ파열 지향 = 241
4. 아나키즘과 다다이즘이 만났던 자리 = 246
초현실주의 시론의 전개와 이미지의 비재현성 = 259
1. '현대시'의 등장 = 259
2. 모더니즘과 초현실주의 시론의 혼동 = 264
3. 오브제로서의 이미지 = 273
4. 서술적 이미지와 존재론적 탐구 = 281
박인환 시에 나타난 애도와 멜랑콜리 = 289
1. 이상 추모의 밤 = 289
2. 해방기의 모더니스트 = 296
3. '애도의 정치'와 우울증적 주체 = 306
4. 금지된 애도와 추모시 = 313
4부 근대의 생명정치를 사유하다
개념사의 관점에서 본 '생명'과 근대의 생명정치 = 325
1. '생명'의 개념사와 근대성 = 325
2. 1920년대 생명주의 담론 = 331
3. 유영모와 함석헌의 씨알사상 = 340
4. 김지하의 생명 사상 = 349
김지하의 역사의식과 '민중'의 의미 양상 = 357
1. 생명과 민중 = 357
2. 민족사에서 배제된 타자로서의 민중 = 363
3. 원한의 저력과 김수영에 대한 대타의식 = 374
4. '민중'에서 '중생'으로 = 387
최인훈의『화두』읽기 : 혁명과 시, 그리고 번역 = 397
1. 최인훈의 '화두' = 397
2.『광장』의 개작과 이언어적 말걸기 = 405
3. '한국적인 것'을 번역하기 = 415
4. 예술의 혁명성과 혁명의 예술성 = 427
내러티브를 활용한 시 교육의 실제 = 433
1. 내러티브를 활용한 시 교육의 가능성 = 433
2. 시 교육에서 내러티브 분석의 의의와 유의점 = 437
3. 내러티브를 활용한 시 교육의 실제 = 444
4. 남는 문제들 = 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