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출간에 즈음하여
헤이본샤 라이브러리판 출간에 즈음하여
한국어판 출간을 맞이하여[초판 서문]
책머리에
일러두기
서장 한글의 소묘
1. 한글의 구조
2. 『훈민정음』이라는 책
제1장 한글과 언어
1. 한글이라는 이름
2. 한국어의 세계
3. 말과 문자
4. 한국어는 어떠한 언어인가
제2장 <정음> 탄생의 자장
1. 문자를 <만든다> — 한자의 자장 안에서
2. 자기 증식 장치로서의 한자
3. <한문훈독> 시스템
4. 한국어의 <한문훈독> — <구결>의 구조
5. <질량을 가진 텍스트>
6. 서방에서 온 길 <알파벳로드=자음문잣길>의 종언
제3장 <정음>의 원리
1. 문자를 <만든다> — 공기의 떨림에서 음을 잘라 낸다
2. <음>에서 <게슈탈트>로
3. 단음=음절문자 시스템의 창출
4. 사분법 시스템의 충격
5. 음의 변용을 <형태화>하다 — 형태음운론으로의 접근
제4장 <정음> 에크리튀르 혁명 — 한글의 탄생
1. <정음> 혁명파와 한자한문 원리주의의 투쟁
2. <용음합자> 사상 — <지>의 원자를 묻는다
3. <정음>이여, 살아있는 것들의 소리를 들으라
4. <정음>이여, <나·랏:말ᄊᆞᆷ>을 — 에크리튀르 혁명 선언
제5장 <정음> 에크리튀르의 창출
1. <정음>이여, 음을 다스리라 — 『동국정운』
2. <정음>이여, 삼천세계를 비추라 — 유불도의 길
3. <정음>이여, 천지 우주를 배우라 — 『천자문』
4. <정음>이여, 우리의 가락을 — 『두시언해』와 시조
5. <정음>이여, 이야기하라, 읊으라, 그리고 노래하라 — <정음> 문예와 판소리
6. 고유어 혈맥과 한자한문 혈맥의 이중나선 구조
7. <정음> 반혁명을 넘어서
제6장 <정음> — 게슈탈트의 변혁
1. <형태>란 무엇인가?
2. 정음의 <모양>과 <형태>
3. 신체성을 얻은 정음의 아름다움 <궁체>
제7장 <正音>에서 <한글>로
1. 鬪爭하는 <正音>, 투쟁하는 <한글>
2. 다시 게슈탈트를 묻는다 — 근대에서 현대로
3. 비상하는 21세기 한글
종장 보편을 향한 계기 <훈민정음>
『훈민정음』을 읽는다는 일
문헌 안내
저자 후기[일본어판]
저자 후기[한국어판]
해설 — 아폴로적 지성과 디오니소스적 감성의 결실·쓰지노 유키
해설 — 『한글의 탄생』의 탄생·김진아
[부록]
한글 자모표/반절표
일본어 50음표 한글로 쓰기
현대어의 초성자음 18종과 초성자모 19종
모음삼각형
한글 역사 연표
문헌 일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