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3
一. 새인과 내력
01. 전각과 금석의 구별 11
02. 인장의 명칭 12
03. 지금까지 발견된 최초의 인장 21
04. 고대 인장의 탄생 24
05. 고대 인장의 용도는 무엇인가? 26
06. 인장의 인색 33
07. 봉니의 지식 35
08. 봉니의 가치 39
09. 고대 인장의 전래 41
10. 인장의 재료 45
11. 석장은 누가 창조한 것인가? 45
12. 인보 51

二. 역대 인장
01. 고새 65
02. 진인 68
03. 한인 70
04. 한인의 흥성 73
05. 주인과 착인 75
06. 한나라 옥인 76
07. 신망의 관인 78
08. 위진남북조인 80
09. 수ㆍ당 이래의 관인 81
10. 송ㆍ금ㆍ원의 관인 83
11. 원주문인 86
12. 명ㆍ청의 관인 88
13. 농민 정권의 인장 88
14. 소수민족의 인장 93
15. 전서 이외의 서체 인장 96
16. 수장인ㆍ재관별호인ㆍ신첩인ㆍ서간인 98
17. 한장ㆍ인수장ㆍ압각장 102
18. 주문인ㆍ백문인ㆍ주백문상간인 105
19. 자모인 106
20. 육면인 107
21. 무전 108
22. 조충서 111
23. 잡형인 112
24. 초형인 113
25. 길어인 115
26. 화압인 117
27. 인뉴 117

三. 명ㆍ청 유파전각과 근대 전각가
01. 문하파 121
02. 환파ㆍ휘파 126
03. 절파 133
04. 환파ㆍ절파 이외의 유파 144
06. 청나라 말기의 주요 전각가 148
07. 근현대의 주요 전각가 168
08. 현대에서 철필로 뛰어난 화가 214

四. 공구재료
01. 인장을 새길 때 필요한 공구재료 227
02. 주요 인석 231
03. 돌 인장의 선택 239
04. 돌 인장의 광택 241
05. 인니의 지식 242
06. 인니의 사용법과 보관 244
07. 인니 제작자 245

五. 인장 새기는 방법
01. 인장 새기는 순서 253
02. 집도법 256
03. 운도법 258
04. 백문 새기는 방법 261
05. 주문 새기는 방법 263
06. 인장 새기는 기본 훈련법 264
07. 인장의 임모 265
08. 임시 새긴 효과의 검사법 267
09. 인장과 서화의 관계 269
10. 전서의 학습 271
11. 각자와 전각의 구별 274
12. 고대의 전각 연습 자료 275
13. 전각에서 필요한 학양 293
14. 인장의 장법 297
15. 인장 가장자리 처리의 규율 308
16. 관지란 무엇인가? 311
17. 변관 새기는 법 315
18. 변관의 탁본 317
19. 선면에 인장 찍는 법 322

六. 참고자료
01. 전각에 필요한 서목 323
02. 전각 잡지 327

七. 주요 전각단체
01. 서령인사 329
02. 종남인사 333
03. 동오인사 334
04. 해묵화사금석서법전각부 335
05. 동호인사 335
06. 영걸인사 336
07. 남경인사 337
08. 흑룡인사 338
09. 석종인사 339
10. 은계인사 340
11. 완백인사 341
12. 경석인사 341
13. 숭휘인사 342
14. 갈석인사 343
15. 옹강인사 344
16. 서신인사 344
17. 청동인사 345
18. 삼천인사 345
19. 수옥인사 346
20. 낭야인사 347
21. 창해인사 348
22. 원창인사 349
23. 홍콩의 우성인사 349
24. 대만의 인학계 351
25. 일본의 인학계 352

역자 후기/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