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 5

1부 관동대지진 학살, 그날 그 자리

1. 되살아나는 유언비어 = 16
도착하지 않은 ‘추도사’|혐오 발언 ‘불령조선인’의 함정|작가 에마 슈의 기억

2. ‘관’에서 ‘민’으로 하달된 유언비어 = 22
현실이 된 ‘새롭고 무서운 재앙’|대지진 다음 날|아직 이루어진 적 없는 실태 조사|‘관’에서 ‘민’으로 전달된 유언비어|자경단 대표의 고백

3. “너 조선인이지?”-작가 쓰보이 시게지의 체험 = 29
유언비어는 ‘사기’, 그럼에도 불구하고|쓰보이 시게지의 《십오 엔 오십 전》|도쿄를 탈출하는 사람들|“당신 조선인이지?”

4. 난바 다이스케가 본 조선인 노동자 = 37
조선인 노동자와 메이데이 대탄압|시나노강 조선인 노동자 학살 사건|계엄령이 가져온 것|“폭도 있음, 방방곡곡에서 방화와 약탈을 자행”

5. 유언비어를 확산한 신문 = 46
붙잡힌 조선인의 운명|군에 의한 살육|지방으로 확산된 유언비어|“주고 엔 고주 센”

6. 조선인 식별법 “십오 엔 오십 전” = 53
조선인 식별법|발음으로 갈린 삶과 죽음|‘무단통치’에서 ‘문화통치’로|‘선도주의’의 역수입|‘선도주의’의 좌절

7. 허위로 부풀려진 증오와 공포 = 60
허위로 과장된 ‘불령조선인’ 이미지|오해를 산 일본인|자경단이 사용한 식별법|3·1운동의 심리적 외상

8. 학살을 담당한 자경단의 원류 = 66
3·1운동과 자경단|‘제국재향군인회’의 발족|주객이 전도된 유언비어|가해자의 피해자 행세

9. 일본 문단의 작가들이 본 조선인 학살 = 74
진재문학|다야마 가타이의 무용담|시마자키 도손의 애매한 대답|아쿠타가와 류노스케 등 작가의 한계

10. 소설가 나카니시 이노스케의 도발 = 82
환영으로서의 ‘불령선인’|나카니시 이노스케의 소설 〈불령선인〉|모두 일본이 짊어져야 할 죄

2부 관동대학살의 상흔

11. ‘불령선인’은 어떻게 만들어졌나-저항운동과 간도 파병 = 88
데라우치 총독 암살 미수 사건|‘불령선인’의 탄생|“불령선인은 테러리스트”|간도 파병에 의한 ‘학살’|학살은 테러리즘과의 전쟁

12. 박해를 두려워한 재일조선인들의 귀환 = 96
문학에서 지워진 조선인 학살|식민지의 동요|피해자의 ‘정신적 살해’

13. 학살 소식에 동요한 재조선일본인과 총독부 = 104
조선에 퍼진 유언비어|도쿄로 간 조선의 현지 조사단|조선의 통곡을 그린 나카지마 아쓰시의 〈순경이 있는 풍경〉|나카지마 아쓰시의 ‘조선’ 체험

14. 사라지지 않는 트라우마, 반복되는 학살의 악몽 = 112
일본을 떠나도|공습과 원폭 투하 때에도|“기뻐하는 얼굴을 해서는 안 된다”

15. 도쿄 대공습 때 반복된 유언비어와 폭력 = 118
반복되는 폭력…‘오모토 사건’과 가해자의 외상|도쿄 대공습과 유언비어|패전 쇼크

16. 패전 쇼크로 재현된 유언과 잔혹 행위 =
패전의 충격|‘요리이寄居 사건’-전후에 재현된 잔혹 행위|“조선인 한둘은 죽여도 돼”

17. 재일동포의 번민을 그린 작가, 이양지 = 130
대지진이 일어나면 조선인은 또 학살될까|이양지의 〈제적등본〉|5년마다 전쟁을 치른 ‘제국’ 일본

18. 학살은 왜 일어났는가 1-“가해자의 죄책감” 결여 = 138
‘전쟁신경증’과 PTSD|“가해에 따른 죄책감” 결여|‘탈감작脫感作’과 ‘집단면책’|‘열등한 인종’을 응징하다

19. 학살은 왜 일어났는가 2-정상 참작된 자경단의 잔혹 행위 = 145
잔혹 행위의 ‘합리화와 수용’ 과정|하늘 아래 떳떳한 살인|“학살”이란 말은 금기어

20. 학살은 왜 일어났는가 3-가해자의 증언, 지금도 유포되는 유언비어 = 151
학살 작전 가담 군인의 증언|‘불령일본인’ 탓이라고 간파한 사령관|심판받지 않는 살인|유언비어를 퍼트리는 이들은 지금도 끊이지 않는다|거짓 없이 진실을 마주 보는 태도

참고문헌 = 160
찾아보기 = 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