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연구 개요 및 진행 경과 = 5
1. 연구 개요 = 5
2. 진행 경과 = 6

Ⅱ. 연구 내용 = 11
1. 방언을 바라보는 시각, 문화 다양성 = 11
1.1. 문화 다양성의 개념과 범위 = 11
1.2. 문화 다양성 관련 선행 연구 및 연구사 정리 = 12
2. 방언의 개념과 범위 = 18
2.1. 방언, 지역어, 그리고 사투리 = 18
2.2. 방언의 성격 = 19
2.3. 한국어 방언의 개념과 범위 = 20
⑴ 경상 방언(동남 방언) = 25
⑵ 전라 방언(서남 방언) = 29
⑶ 충청도·경기도·황해도·강원도 방언(중부 방언) = 32
⑷ 제주 방언 = 34
2.4. 방언 관련 전행 연구 및 연구사 정리
3. 방언과 지역 생활 문화 조사 = 40
3.1. 자연과 생업 = 40
3.1.1. 어업 = 40
⑴ 자연 환경과 조업 활동 = 40
⑵ 해안별 특성 및 주요 생산물 현황 = 47
⑶ 주요 어획물과 도구들 = 49
⑷ 행위자 82
3.1.2. 농업 = 84
⑴ 한해 농사력 = 84
⑵ 논농사 = 86
⑶ 밭농사 = 94
3.2. 집안 생활과 놀이문화 = 120
⑴ 의식주 생활 = 120
⑵ 집안신앙 = 158
⑶ 일생의례 = 162
⑷ 놀이문화 = 168
4. 방언 생활 어휘가 반영된 주요 한글문헌 = 197
5. 방언 어휘 및 생황의 구성 예시 = 203
6. 연구 결과의 활용을 위한 제언 = 208

참고문헌 목록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