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 서문 = 5
한국어판 서문 = 10

1장 서론 = 19

1.1. 불경언어학이란? = 21
1.2. 불경언어학 연구의 의의와 가치 = 26
1.3. 불경과 중국어의 진화 = 42

2장 불경언어학 연구 방법론 = 59

2.1. 인터넷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 61
2.2. 이경증경以經證經: 여섯 가지 불경언어 연구 방법 = 71
2.3. 동경이역同經異譯에 대한 연구 = 119
2.4. 불경 자료의 시대구분 = 142

3장 불경문헌학 = 153

3.1. 대장경의 결집結集 = 155
3.2. 불경 목록目錄 = 157
3.3. 역대 승전僧傳 = 163
3.4. 역장譯場 제도 = 171

4장 불경연구와 성운학 = 189

4.1. 불교의 전파와 성운학의 발전 = 191
4.2. 최초의 중국어 자모 = 196
4.3. 승려가 설계한 등운도 = 201
4.4. 범한대음梵漢對音 = 207

5장 불경연구와 어휘학 = 229

5.1. 불경어휘와 중국어의 2음절화 = 231
5.2. 불경의 3음절 어휘 = 237
5.3. 불경의 형태소 역순 현상 = 257

6장 불경연구와 어법학 = 281

6.1. 불경의 어법적 특징 = 283
6.2. 불경의 의문문 = 298
6.3. 불경의 가정문 = 316
6.4. 불경의 피동문 = 336
6.5. 불경의 부사 = 351
6.6. 불경의 조사 = 375
6.7. 불경의 개사 = 396
6.8. 불경의 접속사 = 414
6.9. 불경의 대명사 = 422

7장 불경연구와 문자학 = 441

7.1. 『용감수감』과 역대 승려의 문자학 저작 = 443
7.2. 돈황사경과 속문자 연구의 전개 = 464
7.3. 승려와 『설문해자說文解字』 = 476
7.4. 불경과 이체자異體字 = 482


8장 불경연구와 음의학音義學 = 503

8.1. 음의학이란? = 505
8.2. 불경 음의학 개론서 5종 = 507
8.3. 『현응음의玄應音義』와 불경 = 529
8.4. 『혜림음의慧琳音義』와 불경 = 545

9장 불경언어 연구의 역사 = 571

9.1. 불경 번역에서의 의역과 직역에 대한 이해 = 573
9.2. 현대 학자들에 의한 불경언어 연구의 부흥 = 583

참고문헌 = 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