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근대국어연구』 개정증보판 간행의 변 = 4
『근대국어연구(I)』 머리말 = 9
인용 문헌 약호 = 21


제1부 총론

제1장 서언 = 31
1.1. 통시적 연구 방법과 공시적 기술
1.2. 국어사 기술 방법과 근대국어 연구 기술 방법
1.3. 변화와 변천과 발달
1.4. 국어학의 범주
1.5. 근대국어의 연구 목적
제2장 국어사의 시대구분과 근대국어 = 42
2.1. 국어사 시대구분의 필요성
2.2. 재론의 필요성
2.3. 기존의 시대구분
2.4. 시대구분의 기준
2.5. 기존 시대구분의 문제점
2.6. 일반적인 시대구분
제3장 근대국어의 국어사적 성격 = 69
3.1. 근대국어 시기의 시대적 배경
3.2. 근대국어 시기의 언어 사용 양상
3.3. 근대국어 시기의 자료의 다양성
3.4. 근대국어에 대한 현대 국어학자들의 인식
3.5. 근대국어 시기의 언어 인식 및 언어관
3.6.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관계
3.7. 현대국어와 근대국어의 관계
제4장 근대국어 연구사 = 95
4.1. 근대국어 연구의 애로점
4.2. 근대국어 연구의 특징 및 방법
제5장 근대국어 시기의 국어변화 = 105
5.1. 음운변화
5.2. 문법변화
5.3. 어휘변화
제6장 문헌자료 연구 방법 = 114
6.1 문헌자료의 제약성
6.2. 문헌자료 접근 태도
6.3. 문헌자료 해석 방법
6.4. 자료의 선택
제7장 근대국어 연구 자료 = 157
7.1. 서론
7.2. 한문 자료
7.3. 차자표기 자료
7.4. 한글 자료
7.5. 근대국어 자료 목록
제8장 언해문의 양상 = 262
8.1. 원문과 언해문의 양식
8.2. 언해의 과정

제2부 표기법

제1장 표기법의 양상 = 283
제2장 근대국어 표기법의 특징 = 290
제3장 어두 된소리의 표기 = 299
제4장 어두 유기음의 표기 = 318
제5장 기타의 합용병서 표기 = 322
제6장 어간말자음군 표기 = 323
6.1. 과 ㄳ
6.2. ㄵ
6.3. ㄶ
6.4. ㄺ과 ㄼ
6.5. ㄿ
6.6. ㄻ
6.7. ㅀ
6.8. ㅄ
6.9. ㅺ
6.10. ㄾ
제7장 ㅎ종성체언의 표기 = 359
제8장 중철표기 = 368
8.1. 중철표기의 태동
8.2. 중철표기에 대한 기존의 학설
8.3. 중철표기의 국어학적 해석
8.4. 표기법 변천 과정에서의 중철표기
8.5. 결어
제9장 격조사의 표기 = 399
9.1. 처격조사의 표기
9.2. 속격조사의 표기
제10장 문장부호 표기 = 410
제11장 구결 글자의 표기 = 419
11.1. 서론
11.2. 『소학제가집주』의 생획토 자료
11.3. 『소학제가집주』 생획토 목록
11.4. 『소학제가집주』 생획토 풀이
11.5. 결론

제3부 음운론

제1장 구개음화 = 451
1.1. 기존 연구 업적 및 문제점
1.2. 구개음화 규칙의 적용 순서
1.3. h 구개음화와 k 구개음화
1.4. n 탈락
1.5. h 구개음화의 y 탈락
1.6. 결론
제2장 i 움라우트 = 478
2.1. 움라우트의 범위
2.2. 움라우트의 발달 과정
2.3. 유사 움라우트의 의미론적 해석
2.4. 구개음화 규칙과의 관계

제4부 통사론

제1장 근대국어의 조사 목록 = 499
제2장 주격조사 = 505
2.1. 형태론적 고찰
2.2. 통사론적 고찰
제3장 주격조사 ‘-가’ = 537
3.1. 서론
3.2. 기존 연구의 결과 및 비판
3.3. ‘-가’의 범주 문제
3.4. ‘-가’의 기원
3.5. 주어 기능의 형태들
3.6. ‘-가’와 ‘-다가’와 ‘-셔’
3.7. ‘-가’의 조사화
3.8. 결어
제4장 속격조사 = 581
4.1. 형태론적 고찰
4.2. ‘- , -의, -ㅣ’와 ‘-ㅅ’의 기능상 변천
4.3. 인칭대명사의 속격형
4.4. 유정체언의 속격형
4.5. ‘-ㅅ’의 통합 관계
4.6. 속격조사의 용법
4.7. 심층격
4.8. 속격 구성의 중출
제5장 처소 표시와 방향 표시의 조사 = 618
5.1. 서론
5.2. 처소 표시
5.3. 처소와 행위 표시
5.4. 방향 표시
5.5. 경과 표시
5.6. 도착 표시
5.7. 결론
제6장 도구격조사 = 648
6.1. 형태론적 고찰
6.2. 통사·의미론적 고찰
6.3. 결론
제7장 ‘-로 려’와 ‘-로더브러’ = 685
제8장 비교 표시의 조사
8.1. 비교의 개념
8.2. 비교의 범주
8.3. 비교 표시의 조사 목록
8.4. 동등 비교
8.5. 차등 비교
8.6. 동등 정도의 비교
8.7. 차등 정도의 비교
8.8. 결론
제9장 조사의 변화 = 740
9.1. 조사의 변화 유형
9.2. 존칭 표시에 의한 조사의 변화
9.3. 동사의 변화에 따른 조사의 변화
9.4. 조사 체계에 의한 조사의 변화
9.5. 통사론적 중화에 의한 조사의 변화
9.6. 결어
제10장 명사화소 ‘-기’ = 782
10.1. 서론
10.2. ‘-기’의 초기 사용 실태
10.3. ‘-기’의 확대 사용
10.4. 결론
제11장 복수 표시 방법 = 796
11.1. 서론
11.2. 중세국어의 복수 표시 방법
11.3. ‘- ’과 ‘-내’의 용법
11.4. 복수 표시 문장의 통사적 특징
11.5. 복수접미사와 다른 문법범주와의 관계
11.6. 근대국어에서의 변화
11.7. 결론
제12장 수사 = 829
12.1. 서론
12.2. 수사의 문법적 위치
12.3. 국어 수사의 분류
12.4. 중세국어와 근대국어 수사의 구조
12.5. 수사의 특징
12.6. 수사의 통사적 특징
12.7. 결론

제5부 어휘론

제1장 근대국어 시기 자료에 나타난 국어 어휘의 특성 = 873
1.1. 머리말
1.2. 어휘 자료집 편찬의 역사와 국어 어휘의 특성
1.3. 어휘사전의 역사적 흐름
1.4. 국어 어휘집 체재의 변화
1.5. 맺는말
제2장 어록해(語錄解) = 902
2.1. 서론
2.2. 한국어의 한자어
2.3. 백화문의 한자 어휘 연구의 목적
2.4. 어록해의 간행
2.5. 맺는말
제3장 물명의 연구 방법과 과제 = 942
3.1. 물명의 현대적 의미
3.2. 물명에 대한 관심의 주된 내용
3.3. 물명의 연구 목적
3.4. 물명 연구 방법
3.5. 물명 관련 자료
3.6. 과제

참고 문헌 = 1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