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형성의 관점에서 본 전문 용어 - 도입을 대신하며
1.1. 들어가기 = 15
1.2. 전문 용어의 개념 = 17
1.3. 전문 용어의 분류와 품사 = 24
1.4. 전문 용어와 파생어 = 29
1.5. 전문 용어와 합성어 = 33
1.6. 전문 용어와 통사적 결합어 = 36
1.7. 전문 용어와 신어 = 40
1.8. 전문 용어와 유추 = 43
1.9. 전문 용어와 의미 관계 = 47
1.10. 전문 용어와 순화어 = 50
1.11. 공공 언어로서의 전문 용어 = 55
1.12. 전문 용어의 대조 연구 = 57
1.13. 나가기 = 57
2. 전문 용어의 분류와 품사
2.1. 들어가기 = 65
2.2. 전문 용어의 분류 = 67
2.2.1. 단어 형성 방법에 따른 전문 용어의 분류 = 70
2.2.2. 품사에 따른 전문 용어의 분류 = 71
2.2.3. 전문 분야에 따른 전문 용어의 분류 = 75
2.3. 전문 용어의 품사적 특성 = 78
2.3.1. 명사, 대명사 전문 용어의 특성 = 79
2.3.2. 동사 형용사 전문 용어의 특성 = 83
2.3.3. 관형사, 부사 전문 용어의 특성 = 85
2.3.4. 감탄사 전문 용어의 특성 = 88
2.4. 나가기 = 89
3. 파생의 관점에서 본 전문 용어
3.1. 들어가기 = 93
3.2. '파생'과 구 전문 용어 = 96
3.3. 파생어 전문 용어의 유형과 특성 = 99
3.3.1. 접사 위치에 따른 파생어 전문 용어의 유형과 특성 = 99
3.3.1.1. 접두사의 유형과 특성 = 99
3.3.1.2. 접미사의 유형과 특성 = 106
3.4. 나가기 = 113
4. 합성의 관점에서 본 전문 용어
4.1. 들어가기 = 117
4.2. '합성'과 구 전문 용어 = 118
4.3. 합성어 전문 용어의 유형과 특성 = 124
4.3.1. 어근에 따른 합성어 전문 용어의 유형과 특성 = 124
4.3.1.1 어근의 지위에 따른 합성어 전문 용어의 유형과 특성 = 124
4.3.1.2. 어근의 비중에 따른 합성어 전문 용어의 유형과 특성 = 127
4.3.1.3. 어근의 어종에 따른 합성어 전문 용어의 유형과 특성 = 129
4.3.1.4. 어근의 고유 명사 여부에 따른 합성어 전문 용어의 유형과 특성 = 136
4.3.1.5. 어근의 전문 용어 여부에 따른 합성어 전문 용어의 유형과 특성 = 142
4.3.2. 통사적 합성어 전문 용어와 비통사적 합성어 전문 용어 = 145
4.4. 나가기 = 150
5. 전문 용어와 통사적 결합어
5.1. 들어가기 = 157
5.2. 전문 용어 통사적 결합어의 개념 = 157
5.3. 전문 용어 통사적 결합어의 유형과 특성 = 161
5.3.1. 전문 용어 조사 결합어 = 161
5.3.2. 전문 용어 어미 결합어 = 166
5.4. 나가기 = 170
6. 전문 용어와 신어
6.1. 들어가기 = 175
6.2. 신어 전문 용어의 형태론적 지위 = 178
6.3. 신어 전문 용어의 형성 = 180
6.3.1. 신어 전문 용어의 어휘 부류별 분포 양상 = 180
6.3.2. 신어 전문 용어의 형성 기제 : 유추를 중심으로 = 192
6.4. 나가기 = 198
7. 전문 용어 형성과 유추 - 경제, 사회 분야를 중심으로
7.1. 들어가기 = 205
7.2. 전문 용어 형성 기제로서의 유추의 우위성 = 209
7.3. 전문 용어 형성 기제로서의 유추의 유형 = 215
7.4. 유추의 유형에 따른 전문 용어의 형성 = 218
7.4.1. 표면 유추에 의한 전문 용어의 형성 = 218
7.4.2. 유추의 틀에 의한 전문 용어의 형성 = 224
7.5. 나가기 = 231
8. 전문 용어와 의미 관계
8.1. 들어가기 = 231
8.2. 전문 용어 사이에서의 의미 관계 = 239
8.2.1. 전문 용어 사이에서의 유의 관계 = 239
8.2.2. 전문 용어 사이에서의 반의 관계 = 249
8.2.3. 전문 용어 사이에서의 상하 관계 = 256
8.3. 전문 용어 내부에서의 의미 관계 = 263
8.3.1. 전문 용어 내부에서의 유의 관계 = 263
8.3.2. 전문 용어 내부에서의 반의 관계 = 270
8.3.3. 전문 용어 내부에서의 상하 관계 = 276
8.4. 나가기 = 280
9. 전문 용어와 순화어
9.1. 들어가기 = 285
9.2. 전문 용어 순화어의 이해 = 286
9.2.1. 언어 정책 관점에서의 전문 용어 순화 기준 = 286
9.2.2. 전문 용어 순화어의 특징 = 291
9.3. 전문 용어 순화어의 어종에 따른 구조 양상 = 294
9.3.1. 한자어로 순화한 전문 용어 = 296
9.3.1.1. 어려운 한자어에서 쉬운 한자어로 순화한 전문 용어 = 297
9.3.1.2. 외래어에서 쉬운 한자어로 순화한 전문 용어 = 301
9.3.1.3. 혼종어에서 쉬운 한자어로 순화한 전문 용어 = 303
9.3.2. 고유어로 순화한 전문 용어 = 303
9.3.2.1. 어려운 한자어에서 고유어로 순화한 전문 용어 = 304
9.3.2.2. 외래어에서 고유어로 순화한 전문 용어 = 307
9.3.2.3. 혼종어에서 고유어로 순화한 전문 용어 = 308
9.3.3 혼종어로 순화한 전문 언어 = 309
9.3.3.1. 한자어와 고유어의 조합으로 순화한 전문 용어 = 309
9.3.3.2. 한자어와 외래어의 조합으로 순화한 전문 용어 = 312
9.3.3.3. 고유어와 외래어의 조합으로 순화한 전문 용어 = 313
9.3.3.4. 한자어, 고유어, 외래어의 조합으로 순화한 전문 용어 = 314
9.4. 나가기 = 315
10. 공공 언어로서의 전문 용어
10.1. 들어가기 = 319
10.2. 용어 정의에 따른 공공 언어로서의 전문 용어 = 321
10.2.1. 공공 언어로서의 전문 용어 정의 = 321
10.2.2. 공공 언어로서의 전문 용어의 범위 = 324
10.2.3. 공공 언어로서의 전문 용어 사용자 = 326
10.3. 공공 언어에서의 전문 용어 생산 = 328
10.3.1. 사전에서의 전문 용어 표시 기능 = 329
10.3.2. 전문 용어로서 공공 언어의 형성, 분류 = 331
10.4. 공공 언어로서의 전문 용어 표준화 = 334
10.4.1. 전문 용어로서의 공공 언어 표준화의 필요성 = 334
10.4.2. 공공 언어로서의 표준안 마련 = 336
10.4.3. 공공 언어로서의 전문 용어 표준화 사례 = 339
10.4.4. 단어 형성의 관점에서 본 공공 언어로서의 전문 용어 표준화 사례 = 353
10.4.4.1. 두자어에서 합성으로 = 354
10.4.4.2. 합성어나 파생어에서 합성 혹은 합성의 방식으로 = 356
10.4.4.3. 합성어에서 통사적 결합어로 = 359
10.4.4.4. 합성어에서 합성어로 = 360
10.4.4.5. 합성어에서 단일어로 = 361
10.5. 나가기 = 361
11. 전문 용어의 대조 연구 - 한중 전문 용어를 중심으로
11.1. 들어가기 = 367
11.2. 단어 형성법의 측면에서 본 한중 전문 용어 = 370
11.2.1. 한중 단일어 전문 용어 = 370
11.2.2. 한중 파생어 전문 용어 = 374
11.2.3. 한중 합성어 전문 용어 = 379
11.3. 의미론의 측면에서 본 한중 전문 용어 = 383
11.3.1. 한중 전문 용어의 유의 관계 대조 = 383
11.3.1.1. 전문 용어 간의 유의 관계 = 383
11.3.1.2. 일반 용어와 전문 용어의 유의 관계 = 388
11.3.2. 한중 전문 용어의 반의 관계 대조 = 391
11.3.3. 한중 전문 용어의 상하 관계 대조 = 393
11.4. 나가기 = 397
주제어 찾아보기 = 401
전문 용어 찾아보기 = 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