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1장. 남과 북의 어휘론 연구 개관 = 14
1.1. 남에서의 어휘론 연구 = 14
1.2. 북에서의 어휘론 연구 = 29

2장. 어휘론의 연구 대상과 영역 = 48
2.1. ‘어휘’의 성격 = 48
2.2. 어휘론 연구의 대상 = 54
2.3. 어휘론의 연구 영역 = 56

3장. 어휘의 체계 = 68
3.1. 어휘 체계에 대한 일반적 이해 = 68
3.1.1. 어휘와 어휘체계 = 68
3.1.2. 어휘의 분류 기준 = 71

3.2. 어휘의 기원적 부류 = 90
3.2.1. 어휘의 기원적 부류에 대한 일반적 이해 = 90
3.2.2. 고유어 = 95
3.2.3. 한자어 = 101
3.2.4. 외래어 = 110
3.2.5. 혼종어 = 115

3.3. 어휘의 사회적 부류 = 118
3.3.1. 어휘의 사회적 부류에 대한 일반적 이해 = 118
3.3.2. 표준어와 방언 = 124
3.3.3. 은어 = 131
3.3.4. 전문어 = 142

3.4. 어휘의 화용론적 부류 = 147
3.4.1. 어휘의 화용론적 부류에 대한 일반적 이해 = 147
3.4.2. 공대어, 겸양어, 평어, 하대어 = 151
3.4.3. 속어 = 160
3.4.4. 금기어와 완곡어 = 162

3.5. 어휘의 시대적 부류 = 168
3.5.1. 어휘의 시대적 부류에 대한 일반적 이해 = 168
3.5.2. 신어와 유행어 = 173
3.5.3. 고어 = 181

3.6. 어휘의 의미적 부류 = 188
3.6.1. 어휘의 의미적 부류에 대한 일반적 이해 = 188
3.6.2. 유의어(동의어) = 197
3.6.3. 반의어 = 212
3.6.4. 다의어 = 230
3.6.5. 동음이의어 = 237
3.6.6. 하의 관계, 공의 관계, 부분-전체 관계 = 246

3.7. 어휘의 구조적 부류 = 249
3.7.1. 어휘의 구조적 부류에 대한 일반적 이해 = 249
3.7.2. 숙어 = 261
3.7.3. 속담 = 267

4장. 어휘의 변화 발전 = 274
4.1. 어휘의 변화 발전에 대한 일반적 이해 = 274
4.2. 어휘의 체계의 변화 발전 = 284
4.3. 어휘의 의미의 변화 발전 = 306

참고 문헌 = 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