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장 의미의 변이 = 15
1. 들머리
2. 의미의 변이 현상
3. 단의어
4. 다의어
5. 다면어
6. 동음이의어
7. 마무리

제2장 다의어의 판정과 의미 확장의 분류 기준 = 29
1. 들머리
2. 다의어의 판정 기준
2.1. 다의어와 동음이의어
2.2. 다의어와 다면어
3. 다의적 의미 확장의 분류 기준
3.1. 사전과 기존 학자들의 분류 기준
3.2. 의미 확장의 분류 기준
4. 마무리

제3장 의미망과 다의관계의 판정 = 63
1. 들머리
2. 의미망 분석에 의한 다의어 판정의 쟁점
2.1. 원형이론의 ‘원형’과 언어표현의 ‘원형의미’
2.2. 문법적 범주에 따른 의미 확장 방식의 차이
3. 시뮬레이션 의미론을 적용한 다의관계 판
3.1. 시뮬레이션 의미론의 개관과 적용 가능성
3.2. 의미망 분석의 실제
4. 마무리

제4장 다의어와 다면어 = 87
1. 들머리
2. 다의어와 다면어의 처리 유형
2.1. 어휘 항목의 불연속성
2.2. ‘책’ 및 ‘은행’류의 처리 방식
3. 다의어와 다면어의 변별 기준
3.1. 다의어와 다면어의 정의
3.2. 규칙적ㆍ논리적ㆍ체계적 다의관계
3.3. 다의어와 다면어의 구별성
4. 다의어의 의미 확장 양상과 특성
4.1. 의미 확장의 원리
4.2. 의미 확장의 양상
4.3. 다의어의 의미 특성
5. 다면어의 양상과 의미 특성
5.1. 다면어의 양상
5.2. 다면어의 의미 특성
6. 마무리

제5장 다의어의 비대칭 양상 = 115
1. 들머리
2. 다의어의 인지모형
2.1. 범주의 포섭관계와 다의관계
2.2. 의미 확장의 원리
2.3. 의미 확장의 기제
3. 구조적 비대칭성
3.1. 형태적 측면
3.2. 통사적 측면
4. 빈도적 비대칭성
4.1. 빈도적 비대칭성의 원리
4.2. 빈도적 비대칭성의 검증
5. 인지적 비대칭성
5.1. 인지적 비대칭성의 원리
5.2. 인지적 비대칭성의 검증
6. 마무리

제6장 다의어 ‘사다’, ‘팔다’의 의미 확장 = 141
1. 들머리
2. 인지의미론과 다의관계
2.1. 현대 언어학의 두 가지 관점
2.2. 다의관계의 인지주의적 접근
2.3. 원형이론
3. ‘사다’와 ‘팔다’의 원형의미
3.1. 사전의 일차적 의미
3.2. 상거래 모형
3.3. ‘사다’, ‘팔다’의 원형의미
4. ‘사다’와 ‘팔다’의 확장의미
4.1. ‘사다’의 의미 확장
4.2. ‘팔다’의 의미 확장
4.3. ‘사다’와 ‘팔다’의 의미구조
5. 다의어의 비대칭성
5.1. 구조적 비대칭성
5.2. 빈도적 비대칭성
5.3. 인지적 비대칭성
6. 마무리

제7장 ‘착하다’의 의미 확장 = 165
1. 들머리
2. ‘착하다’의 의미 확장 양상
2.1. 윤리적 측면
2.2. 선행적 측면
2.3. 친건강적 측면
2.4. 친환경적 측면
2.5. 학습자 중심적 측면
2.6. 우월적 측면
2.7. 경제적 측면
2.8. 미적 측면
2.9. 몰개성적 측면
3. ‘착하다’의 의미 확장 의의
3.1. 의미 확장에 대한 언어학적 견해
3.2. 의미 확장의 원리와 방향
3.3. 의미 확장의 특이성
4. 마무리

제8장 신체어의 의미 확장 = 199
1. 들머리
2. 신체어 의미 확장의 기제
2.1. 개념적 환유와 은유
2.2. 범주적 은유
2.3. 문법화
3. 신체어 의미 확장의 양상
3.1. ‘머리’의 의미 확장
3.2. ‘얼굴’의 의미 확장
3.3. ‘눈’의 의미 확장
3.4. ‘코’의 의미 확장
3.5. ‘귀’의 의미 확장
3.6. ‘입’의 의미 확장
3.7. ‘턱’의 의미 확장
3.8. ‘목’의 의미 확장
3.9. ‘고개’의 의미 확장
4. 신체어 의미 확장의 해석
4.1. 신체 관련어 사전 기술의 문제점
4.2. 신체 관련어의 다의적 개연성
4.3. 의미 확장의 특성
5. 마무리

제9장 감각어의 의미 확장 = 238
1. 들머리
2. 감각 동사의 의미 확장
2.1. 감각 동사의 사용 빈도
2.2. 시각 동사 ‘보다’
2.3. 청각 동사 ‘듣다’
2.4. 촉각 동사 ‘느끼다’
2.5. 미각 동사 ‘맛보다’
2.6. 후각 동사 ‘맡다’
3. 감각 형용사의 의미 확장
3.1. 시각 형용사
3.2. 청각 형용사
3.3. 촉각 형용사
3.4. 미각 형용사
3.5. 후각 형용사
4. 마무리

제10장 다의어 교육 = 274
1. 들머리
2. 학교문법의 다의어 교육 현황
2.1. 초등학교
2.2. 중학교
2.3. 고등학교 ‘국어 I’
2.4.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2.5. 다의어 교육의 주요 사항과 문제점
3. 학교문법 다의어 교육의 바람직한 내용
3.1. 다의어의 개념 학습
3.2. 다의어의 의미 확장 학습
3.3. 다의어의 의미구조 학습
3.4. 다의어의 비대칭성 학습
3.5. 다의어의 위계 설정
3.6. 다의어의 ‘비대칭성’ 탐구학습
4. 마무리

참고문헌 = 306
찾아보기 = 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