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설-풍부한 현실, 이론의 빈곤 ∙ 이하나 = 5

제1부 공공역사 개념의 한국적 수용과 맥락

1. 공공역사 논의의 한국적 맥락 ∙ 이하나 = 29
2. 공공역사의 쟁점과 과제 ∙ 이동기 = 40

제2부 공공역사의 현장

1장 박물관과 역사 전시
1. 여성사박물관과 공공역사: 쟁점과 대안들 ∙ 윤택림 = 67
2. 전근대사 박물관의 공공역사로서 가치 ∙ 옥재원 = 90
3. 다크 투어리즘: 국가폭력과 집단 트라우마의 시청각 체험 ∙ 한성민 = 108

2장 미디어와 대중문화
1. 대중문화의 역사 활용과 공공역사로서의 역사영화 ∙ 이하나 = 127
2. 공공역사, 게임을 만나다 ∙ 김태현 = 152
3. 메타버스와 역사의 리얼리티 ∙ 박진호 = 166

3장 역사교육의 안과 밖
1. 학교 공공역사 교육의 현주소 ∙ 이종관 = 195
2. 학교 역사교육과 공공역사의 만남, 어떻게 볼까 ∙ 방지원 = 227
3. 대중역사에서 시민역사로, 그 가교로서의 공공역사 ∙ 김정인 = 249

4장 구술사와 지역문화
1. 지역사와 구술사 그리고 공공역사 ∙ 허영란 = 279
2. 공공역사로서의 지역문화 콘텐츠 만들기 ∙ 강성봉 = 302
3. 지역 조사·연구의 방법과 과제 ∙ 백외준 = 319

제3부 공공역사가를 위하여

1. 공공역사가로서의 역사학자 ∙ 주진오 = 339
2. 큐레이터: 작은 박물관의 학예사들 ∙ 심철기 = 350
3. 아키비스트: 아카이브와 공공역사가 ∙ 김영경 = 361
4. TV 역사 다큐멘터리, 이렇게 만들었다 ∙ 남성우 = 375
5. 역사 저술가: 직업으로서의 역사, 취미로서의 역사 ∙ 허진모 = 389
6. 스토리텔러: 사극 전문 작가에게 궁금한 것들 ∙ 정현민 = 405
7. 역사커뮤니케이터: 역사학의 안과 밖을 잇는 사람 ∙ 정대훈 = 416
8. 역사크리에이터: 시각과 청각을 사로잡는 뉴디미어 공공역사 ∙ 최슬기 = 430
9. 컬처 플래너: 지역 기반의 문화기획자 ∙ 심준용 = 446
10. 문화해설사: 창의적인 공공역사가가 되는 길 ∙ 박태웅 = 457
11. 대학 강사도 공공역사가다 ∙ 박미선 = 470

주 = 479
참고문헌 = 509
찾아보기 = 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