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4

제1부 언어와 컴퓨터
1. 기호로서의 언어, 그리고 정보 = 11
1.1. 언어의 기호적 특성 = 11
1.2. 언어와 정보 = 17
2. 도구로서의 컴퓨터 = 21
2.1. 언어 자료의 수집과 분석 = 22
2.2. 자연언어 처리 = 26
3. 언어 자원으로서의 코퍼스 = 33
3.1. 코퍼스의 개념과 유형 = 33
3.2. 코퍼스의 언어학적 위상 = 35
3.3. 코퍼스 구축과 활용의 의의 = 40
3.4. 한국어 주요 코퍼스 = 42
3.5. 코퍼스 분석 도구 = 52

제2부 분포와 빈도에 기반한 한국어 연구
4. 코퍼스 기반 언어 연구의 기초 = 59
4.1. 분포와 의미 = 59
4.2. 빈도와 연어 = 66
5. 명사의 분포와 기능 = 73
5.1. 명사의 분포적 특성 = 73
5.2. 격조사 비결합 명사 = 75
5.3. 특정 격조사 결합 명사 = 80
6. 의존 명사의 의존성과 조사 결합 = 89
6.1. 의존 명사의 범주 특성 = 89
6.2. 의존 명사의 피수식 양상 = 90
6.3. 의존 명사의 조사 결합 양상 = 106
7. 조사의 중첩 = 115
7.1. 조사의 작용역과 조사 중첩 = 115
7.2. 조사 중첩의 양상 (1) 조사 개수별 = 117
7.3. 조사 중첩의 양상 (2) 조사별 = 128
7.4. ABㆍBA형 조사 중첩 = 147

제3부 한국어 자연언어 처리
8. 자연언어 처리와 언어 연구 = 159
8.1. 자연언어 처리의 현황 = 159
8.2. 언어학의 역할과 과제 = 168
9. 한국어 자연언어 분석의 이해 = 177
9.1. 자연언어 분석의 기초 = 177
9.2. 한국어 자연언어 분석 개관 = 182
9.3. 한국어 자연언어 분석의 주요 문제 = 190
10. 음절 특성을 활용한 형태소 분리와 원형 복원 = 211
10.1. 음절 사전을 활용한 형태소 분리 = 211
10.2. 음절 정보를 활용한 원형 복원 = 224
11. 공기어 분석에 기반한 형태론적 중의성 해소 = 231
11.1. 형태론적 중의성의 개념과 유형 = 231
11.2. 어절 유형적 중의성 해소 = 236
11.3. 어절 개별적 중의성 해소 = 241
12. N-gram과 조합을 이용한 미등록어 분석 = 249
12.1. 미등록어의 개념과 유형 = 249
12.2. 미등록어의 확인 = 251
12.3. 미등록어의 분석 = 253

부록
1. 파이선 기초 = 261
2. 파이선 언어 처리 프로그래밍 = 324

참고문헌 = 369
찾아보기 = 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