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6
감사의 말 = 8
강은국 선생 연보 및 연구 활동 = 9

강은국 선생님을 추모하여 = 16
강은국 선생님 약전 (곽일성 정리)
姜银國 교수를 哭하노라 (寜海 金柄珉)
서역 가는 먼 길 편안하게 가소서 (윤여탁)
정애와 의리의 사나이―강은국선생 (김호웅)
중국 조선어학계의 거목―강은국 선생님 (강보유)
마음으로 되새기는 그대의 존함 (김광수)


제1부 강은국 선생의 한국어(조선어) 연구 = 61
문형연구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들에 대하여
현대조선어의 형용사와 명사 술어문형
품사 분류에서 제기되는 이중적 성격을 띠고 있는 단어들에 대하여
조선어 동사의 의미론적 특성과 문장론적 기능에 대하여
불완전명사의 특성에 대하여
문법교과서 편찬에서 제기되는 이론 및 실천적 문제에 대하여
한국어 어휘체계에 관한 연구
남과 북의 어휘사용의 이질화에 대한 소고
언어학의 새로운 분과 국속의미론 연구
한중 숫자어의 민족문화의미 비교 연구


제2부 강은국 선생의 한국어(조선어) 교육 연구 = 261
한국어문법교육의 이론과 실제
중국에서의 한국어 문법교육의 특성과 과업
새로운 목표, 새로운 과업 -『대학교 본과 학과소개』 解讀-
조선어 전공 4·8급(TKM4·8) 시험 실행 상황에 대한 고찰 -2015년에 실시된 조선어 전공시험을 중심으로-
《한국어》(연세대 편)를 교과서로 문법 지식을 전수할 때 유의해야 할 문제에 대하여
중국 상해 지역 동포 사회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중국의 민족어문 정책과 조선어문 교육
다문화의 시각으로부터 본 중국조선어의 발전
중국조선어의 규범화에 대하여
중국에서의 조선어문법 연구의 현황과 과제
-《중국조선어문》에 실린 논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 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