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의 연속성 비판과 동아시아적 시각의 확장 = 21
김정한의 미발표작 「잃어버린 山所」와 일제 말의 ''남양군도(南洋群島)''
1. 1965년 체제와 김정한의 문단 복귀
2. 일제 말 배경 소설과 식민지의 연속성 비판
3. 「잃어버린 山所」와 동아시아적 시각의 확장
4 김정한의 미발표작과 새로운 소설적 지평
김정한 소설과 아시아 = 46
베트남, 오키나와, 남양군도
1. 식민지 청산의 과제와 신제국주의 현실 비판
2. 한일협정과 베트남 파병 그리고 국가주의에 대한 통렬한 반어
3. 오키나와 계절노동자의 실상과 일본군 위안부 현실의 역사적 동질성
14. 중부태평양 남양군도의 제국주의와 경험을 넘어선 증인과 기록의 리얼리티
5. 역사직 진실의 회복과 아시아 민중 연대의 가능성
김정한 소설에 나타난 ''남양군도(南洋群島)의 제국주의와 폭력의 양상 = 67
1. 김정한 소설의 장소성과 아시아적 시각
2. 일제 말의 서사화와 식민지 청산의 과제
3. ''남양군도''의 제국주의와 폭력에 관한 서사적 기록
4. 경험의 서사를 넘어선 소설적 진실
김정한 소설의 소수자 의식과 동아시아 민중 연대 = 88
1. 머리말
2. 주변부 소수자로서의 민중의 현실과 근대화의 희생자들
3. 민족과 국가의 경계를 넘어선 동아시아 민중 연대의 가능성
4. 맺음말
김정한 소설에 나타난 일본 인식 = 115
1. 머리말
2. 일본과 일본인, 제국주의의 폭력과 국가주의의 희생
3. 친일 청산의 역사적 과제와 한일 관계의 새로운 가능성
4. 맺음말
김시종의 ''재일''과 제주 4·3의 시적 형상화 = 169
1. 머리말
2. ''재일''의 근거와 ''비평''으로서의 시적 지향
3. 제주 4·3의 기억과 시작 형상화: 여름에서 봄까지
4. 맺음말
분단 극복과 통일 지향의 재일조선인 시문학 = 190
김시종의 시를 중심으로
1. 분단 구조와 재일(在日)의 현실
2. 제주 4·3의 기억과 뒤틀린 계절의식
3. 재일(在日)의 틈새와 통일의 지평
4.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방향과 과제: ''재일''에서 ''통일''로
제3부 심훈과 중국
심훈과 항주 = 217
1. 심훈의 중국행
2. 심훈의 중국 인식과 복잡한 이동 경로
3. ''항주(杭州)'' 시절 작품의 서정성과 시조 창작의 전략
4. 식민지 시기 ''항주''의 역사적 의미와 심훈의 문학사적 위치
심훈의 상해 시절과 「동방의 애인」 = 239
1. 심훈과 상해
2. 식민지 시기 상해의 이중성과 독립운동의 노선 갈등에 대한 비판
3. 연애 서사의 대중화 전략과 사회주의 공동체 지향
4. 「동방의 애인」 이후 사상적 실천과 문학적 방향
제4부 경계의 지점에서 바라본 한국문학
해방 이후 김동인의 소설과 친일 청산을 위한 자기합리화 = 267
1. 해방 이후 친일 청산의 과제와 소설 쓰기
2. 이광수의 친일 행적에 대한 비판과 변명의 이중성: 「반역자」
3. 망각의 서사와 왜곡된 증언: 「망국인기」, 「속 망국인기」
4. 김동인의 친일과 ''동인문학상''을 통한 선양
나혜석과 중국 안동 = 288
1. 머리말
2. 식민지 조선과 중국 안동의 정치적 의미
3. 나혜석의 안동 시절 독립운동과 주체적 여성의식의 정립
4. 맺음말
신동엽과 1960년대 = 317
한일협정과 베트남 파병 문제를 중심으로
1. 65년 체제와 한국문학
2. 한일협정과 신식민주의
3. 베트남 파병과 신제국주의
4. 1960년대, 신동엽, 그리고 아시아
제5부 한국문학사의 재인식과 정전의 재정립
1960~80년대 재일 종합문예지 = 345
『한양』 제재 문학작품의 서지적 연구
1. 머리말
2. 재일 종합문예지 『한양』과 한국문학, 재일조선인문학
3. 장르별, 작가별 발표 작품 현황 개관
4. 『한양』 게재 문학작품의 제재 및 주제의 특징과 의미
5. 맺음말
1960~80년대 재일 종합문예지 『한양』과 한국문학의 교섭 = 372
1. 머리말
2. 『한양』 게재 한국문학 주요 작품 및 작가 현황
3. 『한양』과 1960년대 이후 한국문학의 교섭
4. 맺음말
1960~80년대 재일 종합문예지 = 402
『한양』과 재일조선인문학의 영향
1. 머리말
2. 『한양』 게재 재일조선인문학 주요 작품 및 작가 현황
3. 『한양』과 1960~80년대 재일조선인문학의 영향
4. 맺음말
북한의 근대시 정전화 작업에 나타난 의미 = 435
『현대조선문학선집』(1987~)의 《1920년대 시선(1)~(3)》, 《1930년대 시선(1)~(3)》을 중심으로
1. 식민지 문학 유산의 주체적 평가
2. 『현대조선문학선집』 13~15권 《1920년대 시선(1)~(3)》
3. 『현대조선문학선집』 26~28권 《1930년대 시선(1)~(3)》
4. 선택과 배제의 논리, 남북한 문학사의 균열과 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