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머리말 = ⅴ

1. 문학사 들여다보기 = 1
1.1. 문학사․역사․철학사 = 1
1.2. 문학사 이해를 위한 주요 개념 = 3
1.3. 시대구분 = 12
1.4. 문학사와 문학사 교육 = 22

2. 원시문학 = 28
2.1. 원시문학 1기: 구석기시대 = 28
2.2. 원시문학 2기: 신석기시대 = 31

3. 고대문학 = 36
3.1. 고대문학 1기: 고조선시대 = 36
3.2. 고대문학 2기: 고조선 이후~삼국시대 전기 = 39
3.3. 중세로의 이행기문학 = 49

4. 중세전기문학 = 58
4.1. 중세전기문학 1기: 삼국시대 후기 및 남북국시대 = 59
4.1.1. 한문학 = 60
4.1.2. 삼국의 노래와 향가 = 68
4.1.3. 설화 = 84
4.1.4. 연극 및 공연예술 = 88
4.2. 중세전기문학 2기: 고려시대 전기 = 92
4.2.1. 한문학 = 92
4.2.2. 향가와 항가계 가요 = 102
4.2.3. 설화 = 111
4.2.4. 연극 및 공연예술 = 118

5. 중세후기문학 = 121
5.1. 중세후기문학 1기: 고려시대 후기 = 121
5.1.1. 한문학 = 122
5.1.1.1. 한시 = 122
5.1.1.2. 한문 산문 = 137
5.1.2. 교술 = 142
5.1.2.1. 경기체가 = 142
5.1.2.2. 가사 = 151
5.1.2.3. 탁전과 가전체 = 155
5.1.2.4. 비평 = 159
5.1.3. 서정 = 163
5.1.3.1. 고려속요 = 163
5.1.3.2. 소악부(小樂府) = 175
5.1.3.3. 시조 = 179
5.1.4. 서사 = 184
5.1.5. 연극 및 공연예술 = 189
5.2. 중세후기문학 2기: 조선시대 전기 = 193
5.2.1. 한문학 = 193
5.2.1.1. 한시 = 193
5.2.1.2. 한문 산문 = 211
5.2.2. 교술 = 217
5.2.2.1. 악장 = 217
5.2.2.2. 경기체가 = 226
5.2.2.3. 가사 = 230
5.2.2.4. 가전체와 몽유록 = 235
5.2.2.5. 비평 = 240
5.2.2.6. 편지, 제문, 기타 = 250
5.2.3. 시조 = 255
5.2.4. 소설 = 264
5.2.5. 연극 및 공연예술 = 271

6. 근대로의 이행기문학 = 278
6.1. 근대로의 이행기문학 1기: 조선시대 후기1(1592~1860) = 278
6.1.1. 한문학 = 279
6.1.1.1. 한시 = 279
6.1.1.2. 한문 산문 = 301
6.1.2. 교술 = 313
6.1.2.1. 가사와 잡가 = 313
6.1.2.2. 가전체와 몽유록 = 333
6.1.2.3. 비평 = 339
6.1.2.4. 편지, 제문, 일기, 기타 = 352
6.1.3. 시조와 사설시조 = 363
6.1.4. 소설 = 378
6.1.5. 판소리와 탈춤 = 412
6.2. 근대로의 이행기문학 2기: 조선시대 후기2(1860~ ) = 419
6.2.1. 한문학 = 419
6.2.1.1. 한시 = 419
6.2.1.2. 한문 산문 = 427
6.2.2. 교술 = 431
6.2.2.1. 가사와 창가 = 431
6.2.2.2. 가전체와 몽유록 = 442
6.2.2.3. 비평 = 446
6.2.2.4. 편지, 제문, 기타 = 453
6.2.3. 시조와 신시(新詩) = 456
6.2.4. 소설 = 461
6.2.5. 판소리와 신파극 = 470

7. 근・현대문학 = 475
7.1. 근·현대문학 1기: 1919~1945년 = 476
7.1.1. 한문학 = 476
7.1.2. 교술 = 481
7.1.2.1. 가사 = 481
7.1.2.2. 가전체와 몽유록 = 482
7.1.2.3. 비평 = 484
7.1.3. 시조와 자유시 = 488
7.1.4. 소설 = 501
7.1.5. 희곡 = 519
7.2. 근·현대문학 2기: 1945년 광복 이후 = 525
7.2.1. 비평과 수필 = 526
7.2.2. 시조와 자유시 = 534
7.2.3. 소설 = 552
7.2.4. 희곡 = 570

▪ 참고문헌 = 578
▪ 부록 / 중등교사 임용시험 문학 작품별 출제 현황 = 58
▪ 찾아보기 = 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