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4
▷출간배경 = 6
▷일러두기 = 8
▷우리나라 고조리서의 연대표 = 12


Ⅰ. 음식디미방의 이해
1. 음식디미방의 이해 = 20
1) 음식디미방의 구성
2) 음식디미방의 의미
3) 음식디미방의 체계
4) 음식디미방의 가치
5) 맛질방문에 대한 해석

2. 음식디미방의 내용 = 28
1) 면병류의 분석
2) 어육류의 분석
3) 주국방문의 분석
4) 초법의 분석

Ⅱ. 의현당(宜賢堂) 장계향 선생
1. 의현당 장계향 선생의 삶과 철학 = 48
1) 장계향 선생의 생애
2) 장계향 선생의 연보
3) 장계향 선생의 호칭

2. 장계향 선생의 사상과 철학 = 75
1) 부위자강(父爲子綱)의 도리를 다한 「효(孝)의 실천가」
2) 남편과 자식을 위한 지고지순의 「현모양처(賢母良妻)」
3) 뛰어난 감수성과 관찰력을 가진 「여류시인(女流詩人)」
4) 뛰어난 서체의 서예가이자 화가였던 「예술가(藝術家)」
5)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이끌어 낸 「실학적 실천가」
6) 대기근(大飢饉)에 고통받는 백성의 구휼에 앞장 선 「봉사자」
7) 유교사상을 실천한 <수기안인(修己安人)>의 「사상가」
8) 최초의 순 한글조리서인 「음식디미방」을 쓴 「생활 음식 전문가」
3. 장계향 선생의 작품 세계
1) 경신음(敬身吟)
2) 성인음(聖人吟)
3) 소소음(蕭蕭吟)
4) 학발시(鶴髮詩) 3장
5) 희우시(稀又詩)
6) 증손신급(曾孫信及)
7) 증손성급(曾孫聖及)
8) 수국춘색(水國春色)
9) 무제(無題)
10) 시생(示甥)
11) 맹호도(猛虎圖)
12) 인두화(산수도)
13) 기아휘일(寄兒徽逸)

Ⅲ. 음식디미방 총람 = 93
1. 면병류-18종
2. 어육류-74종
3. 주국방문-51종
4. 초법 –3종
5. 우리의 술(酒) 전통주의 이해

Ⅳ. 음식디미방 영인影印 = 496
1. 음식디미방 표제
2. 음식디미방 원문

※참고문헌 = 544
※편집자 주 = 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