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5

서론
1. 문제제기와 연구 목적 = 11
2. 사림파와『소학』에 관한 연구사 검토 = 15
3. 연구방법과 내용 = 22

제1부 '소학실천자'들의 네트워크 형성
제1장 김종직의 네트워크 형성과 정치활동
1. 김종직의『소학』교육과 네트워크 형성 = 28
2. 김종직의 지역사회 인식 = 39
제2장 김굉필의『소학』인식과 네트워크 확대
1. 김굉필의『소학』인식과 실천 = 49
2. 김굉필의 네트워크 확대 = 58

제2부『소학』의 정치이념과 '소학실천자'들의 정치론
제1장『소학』의 구조와 정치이념
1.『소학』의 편찬과 구조 = 78
2.『소학』의 정치이념 = 90
제2장 소학실천자들의 정치론
1. 가ㆍ국가 부동론과 내수사 혁파 = 104
2. 군주수신론과 군자ㆍ소인의 분별 = 110
보론 : 조선 전기 내수사 폐지 논쟁과 군주의 위상 = 122

제3부『소학』정치이념의 제도화
제1장 소학실천자들의 계모임과 그 정치적 성향
1. 소학계와 죽림칠현의 군주 전제 비판 = 152
2. 도계의 과거제도 비판 = 164
제2장 현량과 설치와 그 의미
1. 과거 시험 기준 비판과 현량과 설치 = 169
2. 현량과의『소학』이념 = 177
3. 현량과와 그 의미 = 182

제4부『소학』이념의 사회화
제1장『소학』이념의 사회적 확산과 향약
1.『소학』의 실천과 향약 : 송대 향약론 = 196
2. 중종대 향약의 전개와 양상 = 204
3. 소학실천자들의 향약 시행론의 특징 = 221
제2장『소학』의 금서 인식과 그 반향
1.『소학』의 금서 인식 = 234
2. 『소학 』의 영향과 그 반향 = 241
제3장『소학』교육의 확대와 서원
1.『소학』서의 간행과『소학』이념의 확대 = 245
2.『소학』교육의 지방 확대와 서원ㆍ서당 = 255
보론 : 17세기 단성현 엘리트의 조직 형성과 인적 네트워크 = 277

결론 = 301
학생, 윤인숙 박사를 추억하며 = 313
부록
참고문헌 = 320
찾아보기 = 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