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 해방공간『해방중등』 으로, 일제강점기『標準音樂敎科書』 는 으로 표기.

I.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9
3. 기존 연구 현황 = 16
4. 연구 내용 = 20

II. 해방공간 중등음악교육 환경 고찰 = 23
1. 해방공간 교육계의 일제 잔재 청산 = 23
1.1 교육계의 일제 잔재 청산 배경
1.2 교과별 교과서 조선어화 양상
2. [해방중등! 조선어화에 영향을 준 요인들 = 33

II. [해방중등] 23종 수록 가창곡의 성격 고찰 = 49
1. 조선곡 고찰 = 50
1.1. 장르 = 55
1.1.1 조선 예술가곡
1.1.2 애국가요
1.1.3 학교 교육 관련 노래
1.1.4 동요
1.1.5 민요
1.1.6 기타
1.2 작곡자 = 85
1.3 작곡/발표 시기 = 95
1.4 노랫말 관련 인물 = 107
1.4.1 이은상
1.4.2 김안서
1.4.3 윤복진(김수향)
1.4.4 임학수
<Ⅲ-1의 요약> = 118

2. 외국곡 고찰 = 120
2.1 장르 = 123
2.1.1 대중가요 • 민요
2.1.2 서양 예술가곡
2.1.3 오페라 구성곡
2.1.4 기타
2.2 작곡자 = 137
2.3 노랫말 관련 인물(역사/작사자) = 148
2.4 번역/작사 시기 = 154
<Ⅲ-2의 요약> = 159


IV. 『해방중등』과 일제강점기 『標準』 수록 가창곡 곡조 및 노랫말 비교 = 162
1.『해방중등』과 『標準』 수록 가창곡 곡조 비교 = 162
1.1 공통곡조로 된 『해방중등』,『標準』수록 가창곡 = 163
1.2 공통곡조의 특징 = 170
1.2.1 작곡자
1.2.2 장르
1.3 [해방중둥! 내 공통곡조로 된 곡의 비중 = 181
1.3.1 [해방중등] 수록 전체 외국곡에서의 공통곡조로 된 곡의 비중 = 182
1.3.2 [해방중등] 개별 교과서 수록 외국곡에서의 비중 = 184
<Ⅳ-1의 요약> = 203

2.『해방중등』 과『標準』 수록 가창곡 노랫말 비교 :『원곡』 -『標準』 - 『해방중등』 노랫말 간 유사성의 정도에 따른 관계 유형을 중심으로 = 205
2.1 유형 구분 = 205
2.2 유형별 고찰 = 208
2.2.2 유형 1
2.2.3 유형 2
2.2.4 유형 3
2.2.5 유형 4
2.2.6 유형 6-1
2.2.7 유형 6-2
= 287

V. 결론 = 289

참고문헌 = 295

부록 = 314

Abstract =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