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 12
Ⅱ 디지털고고학의 분야와 역사 = 20
1. 개념과 분야 정의 = 23
2. 디지털고고학의 역사 = 26
Ⅲ 유럽의 디지털고고학 = 36
1. 정책과 제도 = 39
1) 디지털고고학 관련 정책 = 39
2) 디지털고고학 관련 제도 = 74
2. 디지털고고학 분야별 사례 = 91
1) 야외 조사 = 92
2) 데이터 수집과 기록 = 101
3) 데이터 구축과 분석 = 109
4) 디지털 복원과 시각화 = 117
5) 전시ㆍ교육 = 123
3. 디지털고고학 교육 현황 = 156
Ⅳ 디지털고고학 국내 활용 방안 = 168
1. 고고학 조사와 연구 방안 = 171
1) 디지털 기술의 국내 고고학 적용 방안 = 172
2. 대중을 위한 활용방안 = 181
1) 디지털대중고고학 적용 방안 = 192
3. 교육과 전문 인력 양성 = 206
Ⅴ 디지털고고학 국내 정책 실행 방안 = 214
1. 데이터 통합과 접근성 증대 = 220
1) 고고정보 통합 아카이브 구축 = 220
2) 아카이브 표준 지침 마련 = 222
2. 데이터 품질 제고 = 224
1) 데이터 표준 마련 = 224
2) 모니터링 및 평가 지침과 시스템 마련 = 225
3. 디지털고고학 및 관련 분야 연구 활성화 = 228
1) 디지털고고학 연구 및 문화유산 기술 개발 지원 = 228
2) 산학 협력 장려 및 지원 = 230
4. 전문 인력 양성 = 231
1) 교육과 훈련 기회 제공 = 232
2) 디지털고고학 관련 대학 지원 = 233
5. 대중 참여 확대 = 234
1) 전시ㆍ교육 콘텐츠 개발 및 공유 = 235
2) 문화 소외 계층을 위한 콘텐츠 개발 = 238
3) 디지털 고고유산 자원센터 건립 = 239
4) 문화유산 플랫폼 구축 = 241
Ⅵ 맺음말 = 244
참고문헌 = 250
웹사이트 = 265
부록 = 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