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장
<금루사金縷辭>의 의미 구조 분석과 공간 구조 연구 = 13
작품의 의미구조 분석 = 15
1. 적강 구조의 재현 = 15
2. 공간 구조의 확장 = 19
3. 욕망 구조의 모순 = 26
구조 양상의 행위소 분석 = 30
1. 사랑의 행위소 모형 = 31
2. 이별의 행위소 모형 = 33
작품 공간의 구조적 특성 = 35
1. 아름다운 자연의 공간 = 37
2. 사랑과 이별의 공간 = 38
3. 소외된 특별한 공간 = 40
맺음말 = 41
제 2 장
<군ᄉᆞᆫ월ᄋᆡ원가>의 작품 분석과 시·공간 구조 연구 = 44
<군ᄉᆞᆫ월ᄋᆡ원가>의 작품 분석 = 46
1. 작품 구조 = 47
2. 형식적 특징 = 49
2.1 대화 형식 = 49
2.2 고사 인용 = 54
2.3 시점 변화 = 60
작품의 시·공간적 구조 = 68
1. 과거의 어느 때 : 고정 공간 = 69
2. 현재의 상황 : 이동 공간 = 70
3. 미래의 모습 : 상상(환상) 공간 = 73
맺음말 = 75
제 3 장
『염요(艶謠)』를 통해 본, 풍류 공간의 사회문화적 의미 = 77
작품의 시대적 상황 = 80
작품에 드러난 풍류 공간 = 84
1. 금강 : 그리움, 이별의 공간 = 86
2. 화산교 = 92
2.1 잔치와 놀음 : 즐거움의 공간 = 95
2.2 쾌락과 부정(不正)의 공간 = 98
3. 서호 위의 배 : 흥취의 공간 = 102
풍류 공간의 사회문화적 의미 = 104
제 4 장
『소수록』에 나타난 기생들의 내면 의식과 사회문화적
의미 연구 = 106
『소수록』의 구성 및 의미 분석 = 107
기생들의 내면 의식 = 114
1. 님에 대한 사랑과 원망 = 115
2. 소외된 하층민의 자의식과 욕망 = 122
3. 조선 사회의 모순과 비판 = 127
19세기 사회문화적 의미 = 134
1. 하위 주체의 일탈 = 135
2. 지배와 저항의 문화 = 137
3. 공간 문화의 복합성 = 140
맺음말 = 141
제 5 장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 『악부』 소재 《외입장이 격식》을
통해 본 유흥 공간의 정치학 = 143
작품의 내용 및 구조 = 145
1. 작품의 내용 = 145
2. 작품의 형식과 구조 = 149
2.1 대화체 형식 = 150
2.2 상황에 따른 대립 구조 = 152
유흥 공간[기방(妓房)]에서의 문화정치 = 157
1. 주체와 공간의 관계 : 공간의 의미화 = 157
2. 공간과 권력의 관계 : 공간의 제도화 = 160
3. 권력과 주체의 관계 : 표면화된 진실 = 166
결론 = 169
제 6 장
『북상기(北廂記)』에 드러난 인물형상과 공간인식 = 171
『북상기』의 내용 분석 = 172
『북상기』에 등장하는 인물 형상 = 175
1. 모순관계로 성립된 두 인물 : 순옥과 낙안선생 = 175
2. 일치관계로 성립된 두 인물 : 봉래선과 이양진 = 179
『북상기』에 드러난 공간인식 = 182
1. 유흥(遊興), 사치(奢侈)의 공간 : 순옥의 집 = 183
2. 안빈낙도(安貧樂道) 및 연희(演戱)의 공간 : 낙안당(樂安堂) = 187
3. 약속(約束), 해방(解放)의 공간 : 두물고개 주막 = 188
4. 내기, 놀이의 공간 : 이양진의 여관 = 190
5. 통합(統合), 치유(治癒)의 공간 : 순옥의 집[북상(北廂)] = 193
맺음말 = 195
보 론
<ᄎᆞᆫ ᄒᆡ영 명긔 명션이라>의 욕망 구조 고찰 = 197
문제제기 = 197
<ᄎᆞᆫ ᄒᆡ영 명긔 명션이라>의 작품 구조 = 198
작품에 드러난 인물들의 특징 = 202
1. 기생 명선 = 202
2. 양반 김진사 = 209
인물의 특징을 통해 본 욕망 구조 = 212
1. 기생 명선의 욕망 구조 = 213
2. 양반 김진사의 욕망 구조 = 216
<ᄎᆞᆫ ᄒᆡ영 명긔 명션이라>의 욕망 양상 - 결론을 대신하여 = 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