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 11
1_조선 후기 구곡의 분포와 현황 = 13
2_분야별 선행 연구 동향 = 21
Ⅱ. 공간, 장소, 장소성 = 27
1_공간과 장소 = 27
2_렐프의 장소 이론 = 31
3_장소성 이론의 적용 가능성 = 38
Ⅲ. 원류로서의 무이구곡과 「무이도가」 = 59
1_「무이도가」의 장소 정체성 = 59
2_『武夷志』의 유통과 「무이도가」 해석에 대한 논쟁 = 71
3_「무이도가」 해석에 따른 구곡시의 양상 = 78
Ⅳ. 구곡의 한국적 변용 = 89
1_무이구곡의 재현, 그 시작인 고산구곡 = 89
2_실천적 강학의 장소, 곡운구곡 = 120
3_존주론의 이념적 장소, 화양구곡 = 138
4_위정척사의 실천적 장소, 옥계구곡 = 169
Ⅴ. 20세기 초 구곡의 정체성 = 201
1_1910년대 구곡에 대한 인식 = 202
2_1920년대 이후 기행문에서 나타난 구곡의 정체성 = 219
Ⅵ. 나오며 = 237
참고문헌 = 243